초승달 : 음력 3일경 태양이 진 후 서쪽하늘에서 잠시 보이다 지는 달. | |
상현달 : 음력 7, 8일경 정오에 떠서 자정에 지는 달. | |
보름달 : 음력 15일 태양이 질 때 동쪽하늘에서 뜨는 달. | |
하현달 : 음력 22, 23일경 자정에 떠서 정오에 지는 달. | |
그믐달 : 음력 26, 27일경 해뜨기 직전에 동쪽하늘에서 먼저 뜨는 달. |
⑴ 하루동안 달의 이동 방향
ㅁ |
음력 8일 (상현달) | 오후 4시경,남동쪽 하늘에서보이고남쪽 하늘을 지나 서쪽 하늘로이동한다. |
음력 15일(보름달) | 오후 6시경,동쪽 하늘에서보이고 남쪽 하늘을 지나 서쪽 하늘로이동한다. |
⑵ 달이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이는(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
→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이다.
⑶ 달의 이동 방향이 항상 같은 이유
→ 지구의자전 방향이 항상 일정하기 때문이다.
여러 날 동안 같은 시각에 달을 관찰하면, 모양과 위치는 어떻게 변할까요?(과42-45p)
⑴ 여러 날 동안 오후 6시에 관찰한 달의 모양과 위치
날짜 | 달의 모양 | 달의위치 |
음력 3일 | 초승달 | 서쪽 하늘 |
음력 8일 | 상현달 | 남쪽 하늘 |
음력 15일 | 보름달 | 동쪽 하늘 |
⑵ 음력 3일~15일 동안 오후 6시에 관찰한 달의 모양과 위치의 변화
달의 모양 변화 | 밝은 부분이 늘어난다. |
달의 위치 변화 | 서쪽에서 동쪽으로이동한다. |

달의 왼쪽 부분이 점점 밝아지고,
동쪽 하늘에서 보이다가 점차 서쪽 하늘에서 보인다.
이렇게 보이는 이유는 달이 지구 주위를 공전하기 때문이다.
⑶ 달의 모양과 위치가변하는 이유
→ 달이 한 달에 한 바퀴씩 지구 주위를 돌면서 달의 위치가바뀌기 때문이다.
지구와 달에 대해 배운 내용을 정리해 볼까요?(과46-49p)
1. 지구와 달
⑴ 모양
[지구] 지구의 모양은 둥글고(둥근 공 모양) , 물 과 공기 가 있어서
생물 이 살 수 있다.
[달] 달의 모양은 둥글고(둥근 공 모양) , 물 과 공기 가 거의 없어서
생물 이 살 수 없다.
⑵ 움직임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
→ 낮과 밤이 생기는 까닭은 지구가 하루에 한 바퀴씩 서 쪽에서 동 쪽으로
자전 을 하기 때문이다.
→ 햇빛을 받는 쪽은 낮 이 되고, 그 반대쪽은 밤 이 된다.
[하루동안 태양과 달의 움직임]
→ 태양과 달은동쪽에서 떠서 서쪽으로 지는 것처럼 보인다.
왜냐하면 지구가 서쪽에서 동쪽으로 자전하기 때문이다.
[여러 날 동안의달의 모양과 위치]
→ 달의 모양과 위치가계속 변하는 데, 위치는 서 쪽에서 동 쪽으로 변한다.
그 까닭은지구가 자전 하는 동안 달이 지구 주위를 돌기 때문이다
'세상의진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암에 관한 소식 (1) | 2012.02.12 |
---|---|
[아이패드]2011년 12월 17일에 쓴 글 (0) | 2011.12.17 |
Apogee Moon, Perigee Moon (0) | 2011.09.09 |
크기의 단위 (0) | 2011.06.13 |
중1 수학 서술형 문제입니다. 정답은? (0) | 2011.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