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4. 9. 24. 12:49
제1편 우주와 인체의 원리
제1장 개 요
01. 우주의 에너지
02. 인체의 에너지
03. 6장 6부의 짝
04. 기운의 통로
05. 병의 원인과 진단법
06. 체질 분류법
07. 체질과 특성
08. 체질과 섭생
08. 체질과 섭생
우리는 숨을 통해 음양의 기운을 호흡하고
음식을 통해 6기를 섭취합니다.
그리고 자연 상태에서는 우리 몸이 알아서 그렇게 합니다.
양(+)인 사람은 숨을 들이쉬는 것을 길게 하고
음(-)인 사람은 숨을 내쉬는 것을 길게 하는 것이 편합니다.
또 그렇게 해야 음양의 균형이 이루어집니다.
음식에도 맛에 따라 6기가 있기 때문에
각자 체질에 따라 좋아하는 맛이 다르기 마련입니다.
신 것은 목기에 속하고 (신것, 고소한 것, 노린내 나는 것)
쓴 것은 화기에 속하고 (쓴것, 단내 나는 것, 불내 나는 것)
단 것은 토기에 속하고 (단것, 향내 나는 것, 흙내 나는 것)
매운 것은 금기에 속하고 (매운것, 비린내 나는 것, 화한 것)
짠 것은 수기에 속하고 (짠것, 고린내 나는 것, 지린내 나는 것)
떫은 것은 상화에 속합니다. (떫고, 담백하고, 무미한 것, 생내 나는 것)
그래서 목형 체질은
평소 자신에게 많은 목기운 음식(신맛)은 적게 먹고
단맛(토) 또는 매운맛(금)의 음식을 즐기게 됩니다.
그러나 간담(목)이 약해지면 또 신것을 찾게 됩니다.
이와 같이 몸 상태나 체질에 따라 6미를 잘 골라 먹으면
6장 6부의 병도 고치고 체질도 표준형으로 변하게 됩니다.
평소에도 6미를 골고루 섞어 먹으면 6장 6부가 건강해집니다.
6미 식단표
구분 | 신맛(목) | 쓴맛(화) | 떫은맛(상화) | 단맛(토) | 매운맛(금) | 짠맛(수) |
곡식 | 팥 | 수수 | 옥수수 | 기장쌀 | 현미 | 검은콩 |
육류 | 개 | 염소 | 양 | 소 | 말(생선) | 돼지 |
채소 | 부추 | 근대 | 오이 | 미나리 | 파 | 미역 |
과일 | 자두 | 살구 | 토마토 | 대추 | 복숭아 | 밤 |
근과 | 땅콩 | 도라지 | 감자 | 고구마 | 양파 | 마 |
조미료 | 식초 | 술 | 요쿠르트 | 흑설탕 | 박하,고추 | 소금 |
'오행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간경 (0) | 2004.09.24 |
---|---|
I-1-10~15 (0) | 2004.09.24 |
I-1-09. 맥진법 (0) | 2004.09.24 |
I-1-07. 체질과 특성 (0) | 2004.09.24 |
I-1-05.병의 원인과 진단법 (0) | 200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