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8. 11. 09:10
거래허가구역 땅 매입하면 최장 5년간 전매 금지
10월 13일부터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된 곳에서 땅을 사면 용도에 따라 최장 5년까지 팔 수 없다. 또 토지거래허가를 받을 때는 취득자금 조달 계획을 반드시 첨부해야 한다. 전국에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인 지역은 2만926km²(약 63억3000만 평)로 남한 면적(9만9601km²·약 301억2900만 평)의 20%가 넘기 때문에 이번 조치로 토지거래가 크게 위축될 전망이다. 건설교통부는 10일 이런 내용을 담은 ‘국토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 예고하고 법제처 심사 등을 거쳐 10월 13일부터 시행한다고 밝혔다. 개정안에 따르면 토지거래허가구역의 토지 전매 제한 기간이 △농지는 취득일로부터 6개월에서 2년으로 △임야는 1년에서 3년 △개발사업용 토지는 6개월에서 4년 △기타 토지는 6개월에서 5년으로 각각 늘어난다. 이를 어기면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해당 토지 공시지가의 30%에 해당하는 벌금이 부과된다. 단, 10월 13일 전에 땅을 산 사람은 이 개정안을 적용받지 않는다. 또 △이민 △군 입대 △자연재해로 토지를 허가용도로 사용할 수 없는 경우에는 제한기간에 상관없이 전매할 수 있다. 주택용지에 사업자가 주택을 지어 분양할 때도 제한기간 내에 전매할 수 있다. 토지매입허가를 신청할 때 반드시 제출하도록 한 자금 조달계획 자료는 국세청 등에 통보돼 탈세, 명의신탁 여부 등을 조사하는 데 사용된다. ==>토지거래허가구역은? 일정 규모 이상의 토지를 매입할 때 사전에 해당지역 지자체장의 허가를 받도록 의무화한 곳. 투기적 거래가 많거나 땅값이 급등한 지역 가운데 건교부 장관이나 시도지사가 지정한다.
황재성 기자 jsonhng@donga.com |
'경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조선일보기사]세금 무서워 집팔겠나 (0) | 2005.08.18 |
---|---|
서울 강북구 포함 9곳 투기지역 지정(종합) -2005/08/16 (0) | 2005.08.17 |
투기과열지구 지정현황 (0) | 2005.08.03 |
투기지역 지정현황 (기준일 : 2005년 7월15일) (0) | 2005.08.03 |
서울 및 경기도 일부지역 주택거래신고지역 추가지정 (0) | 2005.08.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