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3. 13:19
출처 블로그 > 부동산투자&인터넷고객관리부 박과장
원본 http://blog.naver.com/phjbiz/10001747003
주상복합아파트
주택 외 시설과 주택을 동일건축물로 짓는 건축물 중 주택을 의미


오피스텔
업무와 주거를 함께 할 수 있는 건축물을 의미


주상복합아파트와 오피스텔의 장단점
가입대상
단 점
ㆍ투기과열지구에서 분양권 전매가능
ㆍ청약자격제한 없슴
ㆍ무이자중도금대출 많음
ㆍ역세권 등 입지조건이 좋은 곳에 위치함
ㆍ아파트 보다 환금성 떨어짐
ㆍ장기적으로 주거환경이 악화될 가능성이 높음
ㆍ분양보증 대상이 아님
ㆍ관리비에 대한 명확한 기준이 없슴
ㆍ분양내용이 공개되지 않아 공정한 평가가
어려움


주거용 오피스텔 보유시 양도소득세
ㆍ 오피스텔도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주택으로 보아 다른 주택과 마찬가지로 1가구1주택의
요건을 갖춰야 양도세가 비과세된다.

ㆍ 현재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추가로 오피스텔을 구입하여 ‘주거용’으로 사용하였
다면 1가구 2주택이 되어 오피스텔을 양도하든 기존 주택을 양도하든 양도세를 내야 한다.



주상복합 아파트, 오피스텔과 일반 아파트와의 차이점
1) 관련법률
주택건설촉진법의 적용을 받는 일반아파트와 달리 주상복합과 오피스텔은 건축법 적용을 받는다. 건축법의 ‘특별법’ 개념인 주택건설촉진법은 원활한 주택공급을 위해 건설사에 대한 지원 등을 담고 있고, 주택공급 과정에 대해 좀더 꼼꼼히 규정해 놓았다.

2) 분양보증 및 관리비
주상복합이나 오피스텔은 시행사가 분양방식과 대금납부를 임의로 할 수 있다. 또한 분양보증 대상도 아니기 때문에 시행사가 부도가 나면 안정장치가 없다. 관리비도 난방방식이나 관리형태에 따라 차이가 크다.

3) 세금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일반아파트를 분양 받을 때는 부가가치를 내지 않고, 분양금액의 2%를 취득세로, 3.0%를 등록세로 내야 한다. 이에 반해 오피스텔은 분양금액의 10%에 상당하는 부가가치세를 내고, 2.2%의 취득세, 3.6%의 등록세를 낸다.


일반아파트는 고급주택 1채이상, 국민주택규모 초과 2채 이상, 국민주택규모 이하 3채 이상을 보유하면서 그 중 일부를 임대할 때를 제외하고는 임대소득세를 과세하지 않지만 오피스텔은 1채를 임대하더라도 임대소득세를 내야 한다.

4) 내부구조
주상복합아파트는 주택으로 구분돼 내부에 욕조를 설치할 수 있고 100%주거용으로 사용된다. 또한 주상복합아파트는 주택임대사업의 대상으로 임차인이 임대차보호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을 뿐 아니라 두 채를 갖고 있으면 1가구 2주택의 적용도 받는다. 이에 반해 오피스텔은 내부에 욕조를 설치할 수 없으며 전용면적도 주거용 부분이 50%를 넘을 수 없다.

아파트ㆍ주상복합ㆍ오피스텔 비교
구 분
주상복합아파트
오피스텔
일반아파트
근거법률
건축법건축법주택건설 촉진법
계약기간
선착순분양 또는 공개추첨
※투기과열지구는 공개추첨
선착순분양 또는 공개추첨
※투기과열지구는 공개추첨
공개청약
분양보증보증제외보증제외보증대상
분양권전매
(투기과열지구)
없슴없슴1년 이상 보유
중도금2회이상납부
청약자격청약자격제한 없슴청약자격제한 없슴청약통장가입자
대금납부임의임의공정률 기준 50%전후 2회 이상
사후관리일반건축물 적용일반건축물 적용공동주택관리령
관리비난방방식 및 관리방식에 따라 차등난방방식 및 관리방식에 따라 차등표준화(지역별 차등)
용도분류아파트업무시설아파트
발코니 설치있음없음있음
욕조설치가능설치불가설치가능
주거용도100%50%(전용면적기준)100%
주택임대사업가능불가능가능
부가가치세전용면적 25.7평 초과시부과평형에 관계없이 부과전용면적 25.7평 초과시 부과
1가구 2주택 해당됨해당됨해당됨
임차인 보호 주택임대차보호법주거용-주택임대차보호법
업무용-상가임대차보호법
주택임대차보호법



주상복합아피트ㆍ오피스텔 선택요령
1) 오피스텔
임대수요가 풍부한 역세권이나 대학촌 주변을 선택해야 한다.

ㆍ 단층형 오피스텔을 복층형 오피스텔로 허위, 과장광고를 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복층형오피스텔을 선택할 때는 복층형 허가를 받았는지 반드시 점검해야 한다.
※ 성남, 고양시는 현재 복층형 구조를 금지하고 있으며, 서울시의 경우 자치구에 따라
복층형을 금지하고 있는 곳이 있다

ㆍ 분양면적과 전용면적의 차이가 크므로 전용면적을 기준으로 일반아파트와 비교
해야 한다.

2) 주상복합아파트
ㆍ 업무지구와 가깝고 교통여건이 좋은 지역에서 주상복합아파트를 선택해야 한다.

ㆍ 주상복합아파트는 일반적인 아파트에 비해 주거환경이 좋지 않기 때문에 인근에
공원이나 조망권을 확보할 수 있는 지역이 좋다.

ㆍ 주상복합아파트는 방향과 층수에 따라 가격 차이가 크다. 따라서 될 수 있으면 좋은
층과 방향을 선택해야 한다.


오피스텔 임대사업 투자 포인트
1)임대수요가 풍부한 곳인지 알아봐야 한다.
ㆍ 지하철 역세권은 필수조건이다. 사무실ㆍ대학교 등이 밀집된 지역의 오피스텔을 우선
고려한다. 이러한 지역은 소형평형(18~25평형)의 임대수요가 많다.

2)매매가 대 전세가 비율이 높은 지역이 투자에 적합하다.
ㆍ 주거형 오피스텔은 인근 아파트의 매매가 대비 전세가 비율이 70~80%이상 되는지 알아
보는 것도 중요하다. 전세가비율이 높다는 것은 임대수요가 풍부하다는 증거다.

3)투자액 대비 연 10~12% 이상의 월세수익이 가능한 곳이어야 한다.
ㆍ 지하철 역세권은 필수조건이다. 사무실ㆍ대학교 등이 밀집된 지역의 오피스텔을 우선
고려한다. 이러한 지역은 소형평형(18~25평형)의 임대수요가 많다.

4)각종 편익시설이 풍부하고 지은 지 오래되지 않은 곳이 수익성이 있다.
ㆍ 오피스텔은 주거와 사무를 겸해 이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쾌적성보다는 편의성에 초점
을 맞춰야 한다. 또한 임차인 입장에서는 신축건물은 선호도가 높기 때문에 기존 오피스텔
보다 수익이 높다.


오피스텔 임대수익률 계산하기
주택 임대사업자는 부가가치세가 비과세인 반면 오피스텔 임대사업자 즉, 일반 부동산 임대사업자는 부가가치세를 물게 된다. 오피스텔 분양계약서를 작성한 시점을 기준으로 20일 이내에 관할 구청에 부동산 임대사업자로 등록하면 부가세를 환급 받을 수 있다. 분양가의 7.6% 수준으로 환급 받기 때문에 투자비용을 절약하는 중요한 포인트가 된다.
취득세와 등록세는 잔금을 납부한 후 20일 이내에 납부해야 과태료를 물지 않는다. 취득ㆍ등록세는 분양가의 5.8%로 부가세를 제외한 분양가격을 기준으로 산정한다.
아래에서 제시한 수익률표는 월세에 따라 임대사업의 수익률이 큰 차이가 나는 것을 보여준다. 즉 월세 매물이 잘 소진되고, 수요가 많은 곳인가를 오피스텔 투자자는 꼭 점검해야 한다.

수익률 계산 예
구 분
월세 90만원 월세 100만원 산출근거
분양가총액
20,00020,000가정임
대출금액
12,00012,00012,000만 원 대출받음
임대보증금2,0002,0002,000만 원 상정
취등록세1,1601,160분양가의 5.8%
부가세환급금액1,5201,520분양가액의 7.6%
실투자금액5,6405,640분양가-대출금액-임대보증금+취득, 등록세
연간 월세수입1,0801,200월세X12개월
보증금 이자소득8484임대보증금*5%에서 세금제외한 83.5%
연간 대출이자840840대출금리 약 7% 적용
임대소득세3244임대소득금(보증금+월세수입-대출이자)*9%
연간 순수입291399월세수입+보증금이자소득-대출이자-임대소득세
연간 투자수익률5.16%7.08%연간순수입/실투자금액

일반아파트, 주상복합, 오피스텔 차이점 비교

구 분

일반아파트

주상복합 아파트

오피스텔

근거법률

주택건설촉진법

300가구 이상이나 주거비율 90% 이상은 주촉법

건축법

승인대상

사업승인

300가구 이상-사업승인
300가구 미만-건축허가

건축허가

분양방법

공개청약

청약통장 또는 공개추첨(투기과열지구)

공개추첨(투기과열지구)

분양보증

보증대상

보증제외

사후관리

공동주택관리령

일반건축물 적용

관리비

표준화(지역별 약간 차등)

난방방식 및 관리방식에 따라 차등

난방방식 및 관리방식에 따라 차등

용도분류

아파트

아파트

업무시설 및 주거용

발코니 설치

있음

있음

없음

욕조

설치 가능

설치 가능

설치 불가

주거용도

100%

100%

50%(전용면적기준)

주택임대사업자

해당됨

해당됨

해당 안됨

부가가치세

전용면적 25.7평 초과시 부과

전용면적 25.7평 초과시 부과

평형에 관계없이 부과

1가구2주택

해당됨

해당됨

해당됨

임차인 보호

보호됨

보호됨

보호 안됨

최초계약자 지원

해당됨

해당 안됨

(자료:대한매일)

현행

개정

적용지역

시행시기

재건축아파트

선분양 후시공

공정 80% 후분양

투기과열지구

7월

지역·직장조합주택

조합원 분양권 전매제한 없음

분양권 전매금지

투기과열지구

7월이전 사업승인 조합은 1회에 한해 전매가능

주상복합아파트

분양권 전매제한 없음

분양권 전매금지

투기과열지구 (20가구 이상 예정)

7월이전 건축허가받은 주상복합은 제외

청약자격 제한없음

청약통장 가입자만 청약가능

전국, 300가구 이상

주택담보대출 인정비율

60%

50%

투기과열지구

6월 이후 신규대출부터 적용

☞ 일반아파트와 주상복합·오피스텔 : 법률적으로 일반아파트는 주택건설촉진법에 따라 사업이 이뤄진다. 반면 주상복합과 오피스텔은 건축법 적용을 받는다. 건축법의 ‘특별법’ 개념인 주택건설촉진법은 원활한 주택 공급을 위해 건설사에 대한 지원 등을 담고 있고, 주택 공급 과정에 대해서 좀 더 꼼꼼하게 규정해놓았다고 보면 된다. 주상복합은 앞으로 주거비율이 90%를 넘거나 3백 가구를 넘을 경우 주택건설촉진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에 포함돼 오는 7월부터 청약통장 가입자에게만 분양된다. 투기과열지구 내에선 분양권 전매도 금지된다.

일반아파트는 사업승인과 분양승인을 받아야 분양할 수 있고, 또 20가구 이상은 반드시 공개청약을 통해 분양해야 한다. 분양대금도 건축 공정률 50%를 기준으로 2회 이상 나누어 내도록 되어 있다. 사후관리도 공동주택관리령에 규정이 있어 이를 따라야 한다. 관리비도 지역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표준화되어 있다.반면 주상복합이나 오피스텔은 시행사가 분양방식이나 대금납부를 임의로 할 수 있다. 분양보증 대상도 아니다. 따라서 시행사가 부도가 나면 수요자는 보상받을 안전장치가 없다. 관리비도 난방방식이나 관리형태에 따라 차가 크다.

국민주택규모(전용면적 25.7평 이하)의 일반아파트를 분양받을 때는 부가가치세를 내지 않고, 분양금액의 2%를 취득세로, 3.6%를 등록세로 내게 된다. 그러나 오피스텔은 분양금액의 10%에 상당하는 부가가치세를 내고, 2.2%의 취득세, 3.6%의 등록세를 낸다. 또한 일반아파트는 고가주택 1채 이상, 국민주택규모 초과 2채 이상, 국민주택규모 이하 3채 이상을 보유하면서 그중 일부를 임대할 때를 제외하고는 임대소득세를 과세하지 않으나 오피스텔은 1채를 임대하더라도 임대소득세를 내야 한다. 그리고 1가구 1주택의 소유자가 3년 이상 보유, 1년 이상 거주(서울과 신도시, 과천 지역)하다 양도하는 일반아파트에 대해서는 양도세를 비과세하며, 오피스텔도 주거용으로 사용하면 주택으로 보아 다른 주택과 마찬가지로1가구 1주택의 요건을 갖추면 양도세가 비과세된다. 그러나 현재 주택을 소유하고 있으면서 추가로 오피스텔을 구입하여 '주거용'으로 사용하였다면 1가구 2주택이 되어 오피스텔을 양도하든 기존 주택을 양도하든 양도세를 내야 한다. 만일 오피스텔을 ‘업무용’으로 사용했다면(사업자등록 등) 주택을 양도할 경우 1가구 1주택이기 때문에 양도소득세가 부과되지 않지만, 오피스텔을 양도하면 주택이 아니기 때문에 양도소득세가 부과된다.

※ 고가주택 : 지역과 평수에 관계없이 거래가액이 6억원이 넘으면 고가(高價)주택으로 분류되어 1가구 1주택에 관계없이 양도세가 중과세된다. 고가주택을 임대해 소득을 올렸을 경우에는 종합소득세 확정신고를 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한다. 주택 임대소득을 신고하지 않으면 20%의 무신고가산세가, 불성실 납세자에게는 가산세 20%가 추가된다.

☞ 주상복합과 오피스텔 : 주상복합은 아파트이기 때문에 주택으로 구분돼 내부에 욕조를 설치할 수 있다. 100% 주거용도로 사용된다. 주택임대사업자의 대상으로 임차인이 임대차보호법에 의하여 보호를 받을 뿐 아니라 두 채를 갖고 있으면 1가구2주택의 적용도 받는다. 이에 반해 오피스텔은 내부에 욕조를 설치할 수 없으며 전용면적도 주거용 부분이 50%를 넘을 수 없다.

[5·23부동산대책] 주상복합아파트 2003/05/27

주상복합은 앞으로 주거비율이 90%를 넘거나 3백 가구를 넘을 경우 주택건설촉진법상 사업계획승인 대상에 포함돼 오는 7월부터 청약통장 가입자에게만 분양된다. 투기과열지구 내에선 분양권 전매도 금지된다. 하지만 주상복합 시장의 "틈새"는 여전히 넓어 수요자들을 사로잡는 "유혹"은 앞으로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먼저 이미 공급된 주상복합 분양권은 인기를 끌 것으로 보인다. 특히 3백가구 이상이면서 입지여건이 뛰어난 단지는 웃돈 상승률이 높을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분양권 전매가 제한될 주상복합과 여러모로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일단 7월 이후 3백가구를 웃도는 주상복합은 주촉법 적용을 받아 어린이놀이터, 노인정, 주민공동시설, 보육시설 등 부대복리시설을 갖춰야 한다. 주상복합은 일반 아파트에 비해 대지면적이 적어 부대시설을 건물 내부에 마련해야 하기 때문에 공용면적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따라서 기존에 공급했던 주상복합보다는 전용율이 떨어져 실제 사용면적이 줄어드는 단점이 생긴다. 이 같은 이유로 공급자 입장에선 건축법을 적용받아 주상복합을 분양하는 게 훨씬 유리하다. 따라서 3백가구 미만으로 상품을 구성한 주상복합 공급이 러시를 이룰 수밖에 없다.

또 투기과열지구에 속하지 않는 지역은 분양권 전매제한 조치가 적용되지 않기 때문에 지방 주상복합 시장이 달궈질 공산이 크다. 부득이하게 대지면적이 넓어 3백가구를 웃도는 주상복합 단지는 수요자의 관심이 오피스텔 쪽으로 기울 가능성이 크다.

주상복합에 딸린 오피스텔은 분양권 거래가 자유로운 데다 아파트와 같은 평면 구조를 갖추고 있어 아파트 대체 상품으로 손색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투자자는 유동성이 높은 아파트형 오피스텔(아파텔)에 관심을 가져볼만 하다. (해밀컨설팅 황용천 사장 / 한경닷컴)

주거용 오피스텔·주택 보유땐 2주택 해당 - 업무용 전환하거나 오피스텔 먼저 팔아야 2002/10/10

경기도 일산에 5년째 살고 있는 사업가 김모(55)씨는 1년전 대학가 근처의 주거용 오피스텔 1채를 사들여 임대를 하고 있다. 올 연말쯤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팔고 서울로 이사하려 하지만 세금 때문에 고민하고 있다. 오피스텔은 원래 상가(업무용 시설)로 분류해 1세대 1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실제 오피스텔 거주자가 주거용으로 쓰고 있다면 2주택에 해당돼 양도소득세를 내야 하기 때문이다.

오피스텔 임대사업이 활발한 가운데 국세청이 실질과세원칙에 따라 주거용 오피스텔을 주택으로 간주해 과세해온 사실이 뒤늦게 시장에 알려져 오피스텔 보유자들의 세금부담이 커졌다.사업자등록을 하고 오피스텔을 상가로 임대했더라도 임차인이 오피스텔을 업무용이 아닌 주거용으로 이용하고 있다면 주택으로 분류돼 1세대 2주택에 해당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존 주택을 팔 경우 양도세를 물어야 하는 것이 불가피하다. 그렇다면 오피스텔 보유자가 기존 주택을 팔 때 양도세 부담을 줄일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오피스텔을 주거용이 아닌 업무용으로 임대하면 된다.

임차인이 오피스텔을 주거용이 아닌 사무실로 쓰고 있다면 상가로 인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대인이 기존 주택을 양도할 당시 보유한 오피스텔이 사업용도라는 것만 입증된다면 1세대 1주택으로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임차인도 사업자등록을 하고 오피스텔에서 사업을 하면서 부가가치세·소득세 등을 내고 있다는 사실이 입증돼야 한다.

오피스텔을 업무용으로 이용할 임차인을 찾지 못한다면 기존 주택을 팔기 전에 오피스텔을 먼저 양도하는 방법도 고려할 만하다. 보유기간이 오래될수록 양도세 부담이 커지기 때문에 오피스텔에 대한 양도세를 부담한 뒤 기존 주택을 처분하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다른 주택은 소유하지 않고 오피스텔 거주기간이 3년이 넘었다면 양도할 때 1세대 1주택으로 간주돼 양도세를 면제받을 수도 있다.

다세대주택과 다가구주택

다세대주택은 가구(세대)별로 등기가 가능한 반면 다가구주택은 오직 집주인이 1명이라는 점이 다르다. 즉 다가구주택은 한집에 여러 가구가 모여 사는 것을 말한다. 다가구주택은 원룸형으로 지어 미혼자에게 월세로 임대하는 것이 유행이다. 다세대주택에 대해서는 일조권의 확보와 연면적에 지하주차장과 폭 1m 이내의 발코니를 포함시키는 등 건축규제를 대폭 강화하기로 하였다. 전세난으로 다가구·다세대주택이 인기이지만 임대용 건물이기 때문에 매매도 잘 안되고 노후화되면 건물가치가 급격히 떨어진다.

다가구나 다세대주택처럼 전기계량기가 한군데 몰려있는 곳으로 이사할 때에는 새로 이사한 주택의 전기요금 고지서에 기재된 계량기 계기번호와 실제로 사용하는 계량기의 계기번호가 일치하는지를 점검해야 한다. 집안의 모든 스위치를 내리고 계량기가 돌아가는가를 살펴보면 된다. 계량기의 원판이 돌아가지 않으면 자기 주택의 계량기가 맞다. 만약 계량기가 돌아간다면 누전이나 다른 집의 계량기와 바뀐 것이므로 즉시 한전 관할지점에 신고하여야 한다.

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3. 13:06

뚝섬 상업지구 개발 지지부진 ‘어쩌나’

서울시내 마지막 노른자위 땅으로 불리 뚝섬 상업지구에 대한 개발이 제자리걸음을 걷고 있다. 매각공고 때보다 2∼3배 높은 가격에 낙찰될 만큼 관심을 끌었지만 정작 낙찰을 받은 업체들은 시공사 선정에 어려움을 겪는 등 사업진행에 속도를 내지 못하고 있다. 낙찰받은 3개 업체 중 2개 업체는 지난해 6월 계약금만 낸 뒤 잔금도 못내 지연이자만 계속 불어나고 있는 상황이다.

인피니테크는 지난해 6월 1구역을 2699억원에 낙찰 받고도 계약금 269억원만 낸 뒤 잔금을 치르지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인피니테크측은 조만간 잔금을 납부할 계획이라고 강조하고 있다.

인피니테크 관계자는 “국내 대형 건설업체와 시공사 계약을 맺기 위해 막바지 협상을 진행 중이며, 수일내로 계약 여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구체적인 마스터플랜은 서지 않은 상태다. 이런 가운데 1구역 일부에는 12개 스크린의 멀티플렉스가 들어서는 것으로 알려졌다. 엔터테인먼트 사업 및 영화 상영관 사업에 적극 나선 이노츠가 인피니테크측으로부터 멀티플렉스 운영권에 대한 가계약을 한 상태다.

대림산업은 지난해 6월 뚝섬 3구역을 3824억원(평당 6943만원)으로 낙찰받았다. 대림산업은 계약금뿐만 아니라 잔금까지 모두 치렀지만 사업진척은 제자리에 서있다.

특히 대림산업은 지난해 4월 서울 마포구 성산동 재건축아파트 사업을 하면서 관련 공무원에게 뇌물을 주는 등 재건축 비리가 적발돼 7개월 동안 국세청으로부터 강도 높은 세무조사를 받는 등 내우외환을 겪었다.

특별세무조사를 통해 지난해 총 790억원대의 법인세가 추징됐다. 하지만 대림산업은 세무조사가 끝난 만큼 뚝섬 3구역에 대한 구체적인 개발계획에 본격 착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4구역을 낙찰받은 P&D홀딩스 역시 그동안 대형 건설사들과 시공참여를 놓고 협상했으나 결론을 내리지 못했다.4구역에 대한 평당 낙찰가가 7700만원선에 이르러 분양가를 높게 매기지 않으면 사업성이 떨어져 이익을 내기가 쉽지 않다는 판단에서다.

문제는 현재까지 지연이자가 나중에 평당 분양가에 반영될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갈수록 사업성이 악화되는 것이다. 원금 외에도 인피니테크는 300억원대,P&D홀딩스는 500억원대의 이자가 밀려 있다.

업계에 따르면 지난해 인피니테크는 모 건설업체와 시공권을 협상하면서 제시된 주상복합아파트의 평당 분양가는 3600만원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일부 대형 평형의 경우 4000만원을 넘길 수 있다는 분석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뚝섬지구내 주상복합아파트의 분양가가 오르면 주변 아파트 시세도 함께 뛸 가능성도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실제로 용산파크타워나 여의도자이 등 서울시내 요지에서 고급 주상복합아파트가 공급될 때마다 주변 아파트값이 뛰었다는 것이 이를 증명한다.

서울시 관계자는 “6월말까지 잔금과 지연 이자를 내면 되기 때문에 별도로 독촉하지는 않는다.”면서 “6월까지 잔금 및 이자를 내지 못하면 계약은 취소된다.”고 말했다.

강충식기자 chungsik@seoul.co.kr

기사일자 : 2006-02-24

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2. 09:13

3월 21일 생로병사의 비밀을 보았다.

초란이 칼슘 섭취에 좋은 효과가 있다고 한다.

골다공증외에도 좋은 식품이라하여 제조법과 음용법을 알아봤다.

초란 만들기와 복용법 | 건강식품 *음식2006/03/11 13:44
http://blog.naver.com/sulim1212/90002394485

[초란의 효능]
초란은 당뇨병, 고혈압, 골다공증, 간염 등의 많은 병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무엇보다도 초란은 배뇨를 도와주고 변비를 낫게 해주며, 스트레스에 대한 저항력을 증강시키고 혈압도 안정시켜 피로를 없애준다.

특히 비만 인구가 증가하는 요즘, 초란은 구연산과 칼슘, 아미노산, 비타민 등의 함량이 높아 살을 빼는 데도 좋은 식이요법이 된다.

초란은 이와 함께 간 기능 활성화와 당뇨병에도 좋은 치유력을 지니고 있다.

왜냐하면 식초자체에 함유된 10가지의 아미노산 작용과 초란 속의 달걀은 당뇨병 환자에게 발생하기 쉬운 혈관 장애를 막아주고 당분 처리도 해주기 때문이다.

또 심장의 기능을 정상화 시키고 수독을 개선하는 작용도 하므로, 피로나 스트레스, 추위따위로 몸의 정상적인 수분 처리가 부드럽게 진행되지 못해 소변과 땀으로 배출되어야 할 수분이 콧물로 나오는 경우에도 효과가 있다.

아울러 생리통에도 좋은데, 몸을 따뜻하게 하고 기혈의 흐름을 도와 혈액순환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초란 만드는 법]
날 계란 한 개와 식초 한 홉(180-200ml), 뚜껑이 있는 유리병을 준비한다.

날 계란을 깨끗이 씻고 마른 행주로 물기를 제거한다.

준비된 병 속에 식초를 붓고 날 계란을 껍질째 넣는다.

병의 뚜껑을 꼭 닫아 상온(20-25도)의 약간 어둡고 통풍이 잘되는 곳에 15일 이상 놓아둔다.

일주일 정도 경과하면 계란의 껍질이 녹아지면서 거품이 발생하고 나중에는 껍질이 다 녹아 하층에 가라 앉으면서 투명한 흰막이 남습니다.

그러면 흰 막을 걷어내고 드시면 되는데 먹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하나는 만든 병에 휘휘 저어서 식초 안에 다 녹여진 것을 마시면 되고 또 다른 방법은 계란만을 건져내어 계란만 먹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러나 원칙은 만든 병에 넣은채 휘휘저어서 함께 음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할 점]
초란을 만들 때는 특히 좋은 식초를 사용해야 하며, 현미 식초가 가장 좋습니다.

현미식초에는 귀중한 아미노산이 듬뿍 들어 있어 식도나 위에 부담을 적게 주며, 혈액의 엉김을 개선하여 혈액순환을 좋게 해줍니다.

반드시 유정란을 이용해야 합니다..

[보존법과 복용법]
신선한 냉장고에 보관한다.

하루에 술잔으로 하나 정도(20ml)씩 3번정도 마신다.

단, 위가 약한 사람은 식 후에 마시는 것이 좋다.

초란이란?

초란은 초(식초) , 란(계란)을 혼합하여 만든 음료를 가리킨다. 여기에 꿀 혹은 흑당(사탕수수 운액)을 넣으면 더욱 좋다.이 셋 중에 가장 기본적인 것이 식초이다. 소주에 식초를 혼합하면 알콜의 도수가 3분의 1로 줄어들고, 곰탕에 식초를 타면 엉킨 기름이 풀어져 버린다. “식초 한 병이 산삼 일만 뿌리 이상의 가치가 있다”는 자연식의 대가 안현필 선생의 교훈이 있듯이 식초는 유용한 식품이다. 잦은 음주로 구역질하는 분이 초란을 마시면 일주일이내에 구역질이 없어지고, 각종 부패균은 5분 이내 콜레라균도 30분 이내에 사멸된다. 초란을 기호식품과 가정상비약으로 비치하여 늘 해독제로 마시는 것이 바람직하다.

* 옛 선조님 가정 상비약 : 계란기름. 천연발효식초


-. 초란은 신비의 물질이다.

초란은 장기 복용해도 해가 없는 완전식품이다. 그 중에서도 간염이나 임신, 수유부, 갱년기 장애의 여성에겐 최고의 약이요 최고의 식품이다. 병약한 사람, 발기부전, 조루증세 등으로 기죽어 있는 남성은 100일 정도의 초란 요법으로도 확실한 효능을 느낄 수 있다. 초란은 초산칼슘으로서 정혈과 해독 작용이 강하며 호르몬과 레시틴의 보고이다. 초란 1병은 효소가 사멸된(끓이면 효소가 사멸됨) 보약 농축액 100첩 먹는 것보다 낫다는 말이 있다. 초란은 효소와 칼슘과 레시틴과 꽃가루와 란황이 살아 있는 생명 그 자체이다.


-. 아미노산이 풍부하다.

아미노산의 종류는 20여 가지가 되는데 아미노산 중에 합성이 되지 않는 8가지 필수아미노산은 음식물을 통해 섭취해야 한다. 초란 속에는 양질의 필수아미노산 이외에 알라닌, 시스틴, 피부 손톱의 주성분인 케라틴(Keratin)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하루에 100㏄만 섭취해도 충분한 아미노산을 얻을 수 있다. 1개월 넘게 하루 2회 이상 초란을 복용하자 몸에서 기운이 나기 시작했고 2개월을 복용하자 그렇게 많이 빠지던 머리털도 빠지지 않았고 못 가던 화장실도 갈 수 있었다고 한다.


-. 피로회복의 구연산이 최고

최근 흑식초의 붐이 일고있는데 일본에서는 흑식초보다 더욱 좋은 오끼나오하 모로미초가 구연산이 많이 유행으로 건강음료식초로 최고의 식초로 자리메김하고 있다


-.천연 비타민이 풍부하다.

Vitamine은 생명을 유지하는데 없어서는 안 되는 필수적인 물질로서 신체기능을 조절하기 때문에 어떤 면에서는 호르몬 작용과 비슷하다. 비타민 C는 인체에서 합성 되지 않기때문에 음식으로 섭취해야 하는데 위험한 정제된 비타민제보다 천연 비타민이 초란 속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흑당 혹은 꿀에 식초를 넣었을 때는 그 효능은 높아진다. 미국의 의사 D.C 자이비스씨는 성인병 환자들에게 주로 꿀물에 식초를 타서 마시게 하는 민간요법으로 많은 병을 고쳤다. 초란은 피로를 쫓는 식품으로 몇 달만 사용해도 두통이나 빈혈이 낫고, 우울증과 불면증, 류마티스 관절염, 전립선염, 면역력 부족, 경부임파선염, 야뇨증에도 잘 듣는다.


-.천연 초산칼슘이 풍부하다.

의학의 아버지 히포크라테스는 정력 없는 남편이나 회복기의 환자에겐 초란(醋卵)이 좋다라고 역설했다. 초란을 장기 복용하면 피로를 모르는 알칼리 체질이 되는 것은 혈액을 산성화하는 젖산과 초성포도산을 풀어주기 때문이다. 또한 육식으로 인한 산혈증(酸血症)도 중화시키고, 특히 정력증강과 만성간염의 예방과 치료에 필수적으로 등장한다. 산성 체질은 만병의 근원이요, 죽음 직전의 환자에겐 극명한 산혈증이 나타난다. 이 산성화된 혈액을 알칼리성으로 바꾸는데 산 중화 역할을 하는 것이 바로 칼슘이다. 칼슘이 부족으로 관절염, 골다공증은 물론 동맥경화, 당뇨병이나 뇌졸중, 치매, 간경변, 암도 오게 되는 것이다. 칼슘 1일 섭취량은 성인 6백mg인데 식초에 녹아있는 초산칼슘(초란)은 가장 질이 좋고 흡수가 용이한 칼슘이다. 이집트의 미인 크레오파트라는 진주알을 식초로 변한 술을 담가 마셨는데 진주의 주성분이 탄산칼슘이란 점에서 초란의 원리다. 칼슘식초는 정혈은 물론 치매현상의 예방과 신경의 진정작용, 인슐린분비 촉진으로 당뇨증상의 개선, 식욕증진과 흡수력의 조장, 피로회복의 촉진작용, 체내의 지방축적 즉 고지혈증(高脂血症), 심장병과 뇌졸중도 예방할 수 있다.


-.레시틴의 함량이 높다.

인간의 세포는 세포막을 통해 몸에 필요한 물질을 받아들이고 필요 없게 된 노폐물 등을 배설하는 출입구나 문지기 역할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중요한 작용을 하고 있는 세포막의 주성분이 레시틴으로 그 양은 대개 체중의 1/100이나 되며 레시틴이 부족하면 이 기능이 저하된다. 레시틴의 작용은 혈액 속의 콜레스테롤이나 중성지방을 줄이며, 뇌의 기능을 활성화하고, 세포를 싱싱하게 소생시킨다. 레시틴이 초와 합성되면 레시틴의 효과가 수십 배에 달하는 특징이 있다. 일반 레시틴 제품이 암 치료제나 두뇌 영양제로 고가로 판매되고 있지만 굳이 값비싼 외국의 건강보조식품을 먹을 필요가 없이, 초란을 만들어 마시면 살아있는 레시틴을 다량 섭취할 수 있으며, 동시에 효소, 비타민, 호르몬까지 동시에 해결할 수 있다.

레시틴은 최근 계란기름을 통해서도 얻는다.


-.효소가 풍부하다.

우리의 몸을 유지시키는 데는 열량식품 이 외에 비타민, 미네랄, 호르몬, 효소라는 네 가지 영양소에 의해 유지가 되고, 모든 기능들이 조절되므로 활력을 갖게 만든다. 그런데 기계로 속성시킨 대부분의 시중의 식초는 열을 통과시켜 효소를 사멸시킨 것으로 효과가 떨어지며 위장장애는 물론 장내 유익균까지 사멸시켜 버린다. 암의 발생은 효소의 부족에서 오며 실제로 암이 발생하였을 때 인체에는 카탈라제 효소를 거의 찾아볼 수 없다. 초란은 피로 회복이나 정력 증진에 특히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기미, 주근깨, 동맥경화, 고혈압, 저혈압, 위장병, 당뇨병, 간장병, 신장병, 암 등의 예방과 치료 보조식으로 훌륭한 식품이다. 몸이 정상화되면 암세포도 자랄 수 없다. 초란의 항암효과는 여러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 이는 초란 안에 있는 여러 종류의 효소와 다양한 영양소에서 복합적인 작용에 의해 몸을 정상화시키는 효과라고 생각된다.


초란 만드는 방법

① 날계란(유정란)10개와 천연식초 1되(1.8ℓ)와 뚜껑이 있는 유리병을 준비한다. 이 때 숙성시킨 천연식초이면 더욱 좋다. ② 날계란을 씻어서 물기를 제거한다. ③ 날계란을 껍질째 넣고 병 속에 식초를 붓는다. 위장 약하면 계란을 더 넣는다. ④ 뚜껑을 꼭 닫아 방안 약간 어두운 곳에 둔다. ⑤ 일주일 정도 후에 계란 껍질이 녹으면 녹지 않은 하얀 막은 젓가락으로 꺼낸다. ⑥ 만들어진 초란을 꿀,흑당을 넣어 잘 젖거나 믹서하여 맛있게 가미한 후에 반드시 냉장고에 보관한다. ⑦ 하루 3회, 식 중에 반 컵 정도씩 그냥 혹은 생수 등에 타서 마신다.

회복기의 환자에게 좋다는 초란을 아시나요? 달걀을 식초에 담가두었다가 껍질이 식초에 녹아 부드러워지게 만들어 먹는 방법이랍니다. 이때 흰자위는 반숙란처럼 굳어지는데 신기하게도 노른자위는 변하지 않는답니다. 특히 어린이와 노인에게 좋다는 초란은 깨끗한 달걀을 껍질째 식초에 담구어 만든답니다.

이 신기한 현상은 식초의 주성분인 식초산이 석회분을 용해시키기 때문 달걀껍질이 녹아 부드러워지는 것이에요. 초란은 껍질을 버리고 노른자위와 흰자위를 잘 섞어 먹는데 신맛이 강해서 적당히 묽게 해서 마시거나 꿀을 섞어서 먹기 편하게 만든 후 식후 30분 쯤에 마십니다.

완전 식품이라고도 불리는 계란은 고단백의 우수한 식품이지만, 실은 유아나 노인 또는 환자에게는 적당치 못한 식품이에요. 소화기 계통이 약한 사람에게는 달걀 안에 들어있는 안티트립신이라는 성분이 단백질 소화를 저해하고 흰자위에 들어있는 아비딘이 비오틴이라는 비타민의 작용을 방해해서 피부염이나 탈모에 이르게 되기도 하거든요.

반면에 식초에는 식욕증진,위액분비의 촉진 등 등... 소화와 흡수작용을 돕는 성분이 많이 들어있답니다. 게다가 천연 방부효과도 있어요. 그래서 식초와 달걀로 초란을 만들면 소화흡수가 잘 되어 체력을 정상으로 되돌리는 효과가 생기는 것이지요. 체력과 소화력이 극히 약한 사람도 몸의 무리 없이 달걀을 먹을 수 있는 지혜로운 방법이랍니다 .

⊙초란이 좋은 이유
1.간장병과 초란
초란(醋卵)은 10종류 이상의 필수 아미노산과 구연산, 칼슘, 비타민 등이 다량으로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간장병 환자에게 발생하기 쉬운 혈관장애를 막아주고 당분처리도 도와주기 때문이다.

2.신장병과 초란
식초(食醋)는 소변의 양을 증가시키고 약해져 있는 신장조직을 회복시키는
힘을 가지고 있다.

3.골다공증과 초란
초란(醋卵)은 칼슘 공급을 촉진시키고 칼슘의 체내 흡수율을 높인다.
또한 염분 섭취를 제한시킬 뿐 아니라 체내의 과잉 염분을 체외로 배출시키는 역할을
하므로 골다공증을 예방할 수 있다.

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2. 08:55
[신나는 공부]한자공부 제1수칙…매일 쓰고 또 쓰는 것



초등학교 고학년이 되면 교과서에도 서서히 한자어가 등장한다. 예각 둔각 직각 등 초등 4학년 수학 교과서를 비롯해 반도체(半導體) 해상도(解像度) 집단소송제(集團訴訟制) 등의 한자어도 접하게 된다.

고학년으로 갈수록 한자 사용이 늘어나고, 최근 대학입시 전형과 대기업 취업시험에서도 한자검정시험 공인 급수를 따면 가산점을 주고 있어서 한자 공부에 대해 관심이 높다.

한자 학습은 낱자, 필순, 부수, 한자어 지도 등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 하는 것이 좋다. 어떻게 하면 아이에게 한자공부를 재미있게 시킬 수 있을까.

○ ‘무조건 암기’ 방식은 피해라

일부 학부모 중에는 ‘역시 한자는 암기가 최고’라는 생각으로 무조건 한자를 암기하도록 아이에게 강요하는 경우가 있다. ‘무조건 암기법’은 아이들이 한자공부에 금방 흥미를 잃게 만든다.

언어 학습의 지름길은 ‘반복’이다. 가랑비에 옷 젖듯 매일 조금씩 반복하면서 익히도록 하는 방법이 효과 있다. 아이가 한자공부에 스트레스를 받는 것 같으면 “오늘은 외우되 내일은 잊어버려도 좋다”라고 말해주는 여유가 필요하다.

○ 필순 가르쳐라

필순은 한자 쓰기를 위한 기초 학습이다. 우선 50∼100자의 쉬운 한자를 소리 내어 읽게 한다. 읽을 줄 아는 한자를 쓰는 것이 아이들에게는 더 쉽게 다가가기 때문에 우선 읽는 학습이 선행돼야 한다.

읽는 학습이 어느 정도 됐으면 “어떤 방향으로 쓰는 게 편할까?”라고 아이에게 질문을 던진 뒤 한 획을 그을 때마다 어느 방향이 올바른지를 생각하게 한다. 한자의 필순은 ‘위에서 아래로, 왼쪽에서 오른쪽으로’가 기본이다. 또 가로획과 세로획이 만날 때는 가로획을 먼저 쓰도록 가르친다. 억지로 외우게 하기보다는 여러 번 반복해 쓰게 하면서 자연스럽게 필순을 익히도록 하는 게 좋다.

○ 일정 수준 되면 부수학습

아이가 400∼500자 정도의 한자를 알게 되면 부수를 가르쳐야 한다. 단 너무 이른 시기에 부수를 강조하면 한자 공부를 어려워하게 되니 시기를 잘 맞추는 지혜가 필요하다.

가령 ‘널조각 판(板)’, ‘재목 재(材)’를 배우면 ‘木’이라는 변(邊)이 공통으로 들어가고 나무와 관련된 한자로 쓰인다는 것을 알게 된다.

점차 알게 되는 한자 범위가 넓어지면서 아이 스스로 부수에 대해 관심을 갖고 생각하게 되는 시기가 오는데 이때 한자어 사전인 ‘자전(字典)’ 찾기를 가르쳐 주면 스스로 한자 공부를 해 나가는 방법을 익힐 수 있다.

○ 단어 학습에 주력

글자 학습보다는 한자어로 이뤄진 단어 학습에 비중을 두는 것이 좋다. 예를 들어 ‘學’, ‘校’를 따로 배우는 것보다 ‘學校’로 익히게 하면서 각각의 글자인 ‘學’과 ‘校’로 만들 수 있는 학년 학생 학문 학업 교실 교문 교무실 등과 같은 한자어를 함께 가르치는 게 효과적이다.

또 신문을 활용하는 것도 좋다. ‘초등 학생(學生)의 학업(學業) 수준 평가 결과에서 기초(基礎)가 많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왔다’라는 기사가 있다면 실제 문장 속에서 한자어가 어떻게 활용되는지 아이에게 예를 들어 설명해 줄 수 있다.

간혹 “안중근 의사(義士)의 직업이 의사(醫士)야?”라고 묻는 아이들이 있다. 아이들은 개별 한자의 음은 쉽게 기억하는데 비해 각각의 뜻을 익히는 것을 힘들어하는 경우가 있다. 한자 학습에 효과적인 지도 방법은 일단 한 글자씩 낱자를 익히게 한 뒤 한자어를 만들어 보는 것이다. 한자어가 문장 속에서 어떻게 사용되는지 알게 하면 더 좋다.

○ 한자검정시험 활용

전국적으로 한자검정시험이 여러가지 있다. 하지만 대학입시나 취업의 경우 가산점을 받으려면 반드시 국가에서 인정한 한자검정시험에 응시해야만 공인 자격을 얻을 수 있다.

여러 단체에서 각기 한자검정시험을 주최하고 있지만 그 중에는 국가공인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 한자 시험을 개최하는 단체가 많기 때문에 잘 살펴봐야 한다.

국가에서 공인한 한자검정시험 주관단체로는 한국어문회, 한자교육연구회, 한자교육진흥회, 한국외국어평가원 등 4곳이다. 4곳의 단체 중 한국어문회가 주관하는 검정시험이 국내 최대 규모로 연간 100만 명이 시험을 보고 있다.

한자 급수는 1급부터 8급까지 있다. 삼성 계열사 중 일부는 3급 이상 소지자에게 가산점을 준다.

이순동 구몬학습 교육연구소장

클릭하면 큰 이미지를 볼 수 있습니다.

(▲위의 이미지 클릭후 새창으로 뜨는 이미지에 마우스를 올려보세요. 우측하단에 나타나는 를 클릭하시면 크게볼 수 있습니다.)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KT SI 경력사원 모집  (0) 2006.06.01
초란 만들기와 복용법  (0) 2006.03.22
인터넷 활용 학습법 가이드  (0) 2006.03.22
2006 경기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  (0) 2006.03.21
컴퓨터활용능력시험  (0) 2006.03.21
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2. 08:52
[신나는 공부]인터넷 활용 학습법 가이드


읽고 쓰고 외우기만 하던 부모세대와 달리 지금의 초중학생들은 조사 관찰 견학 등 다양한 숙제를 해야 한다. 특히 고학년이 되면 정보를 분석하고 자신의 생각을 덧붙이는 어려운 과제가 늘어나는데 자료를 어디서 찾는지 막막할 때가 많다. 인터넷을 활용한 효과적인 학습방법을 소개한다.

○인터넷은 백과사전

초중학교 사회·과학 과목은 특히 인터넷 활용이 중요하다. 박물관과 유적지를 견학할 때는 인터넷으로 유의사항과 이용안내를 확인하고 관련 역사적 사실을 정리해둬야 한다. 공공기관 및 시민단체가 하는 일은 해당 홈페이지를 방문해 관련 뉴스를 스크랩하면 된다.

과학은 실험활동 동영상으로 실험준비과정 및 결과를 예습해 두면 좋다. 과학 전시회나 별자리 이야기를 찾아보며 과학 과목에 흥미를 높일 수도 있다. 과학에 재능이 있는 학생은 각 대학 연구소나 천문대, 과학잡지 홈페이지를 방문하면 전문적인 과학지식을 얻을 수 있다.

블로그와 홈페이지를 활용하는 것도 도움이 된다. 디지털카메라로 찍은 사진과 함께 블로그에 일기를 쓰게 하거나 강낭콩이 자라는 과정을 사진으로 찍어 관찰기록을 남기게 하는 것도 좋다. 동시나 독후감을 모아 문집을 만들고 장래 희망에 대한 정보를 하나씩 모으며 꿈을 실현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알게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숙제도우미 홈페이지에서 최신뉴스와 학습자료를 찾아보는 것도 도움이 된다.

폴짝닷컴(www.polzzac.com)에는 숙제선생님이 있어 학습 가이드라인을 제시해 주고

야후 꾸러기(kr.kids.yahoo.com)에서는 인터넷전과를 활용할 수 있다.

주니어 네이버(jr.naver.com)는 백과사전과 포털 사이트 기능이 뛰어나며

와이즈캠프(www.wisecamp.com)는 담임교사가 있어 매일 학습 내용을 점검하고 서술형 첨삭지도도 해준다.

○올바른 사용습관을 들여야

컴퓨터를 사용하는 바른 습관을 키우기 위해서 사용시간을 스스로 분명히 정하게 한다. 거실 등 공개된 장소에 컴퓨터를 설치해 검색 내용과 사용시간, 컴퓨터 쓸 때의 자세를 체크할 수 있게 한다.

좋은 자세는 모니터에서 20∼26인치 떨어져서 눈높이를 모니터보다 4∼9인치 정도 높게 두고 앉는 것이다.

사용한 CD는 그때마다 정리하게 하고 컴퓨터 사용 후 반드시 스트레칭이나 체조를 시킨다. 컴퓨터 활용 학습계획서를 스스로 짜게 해 부모가 수시로 체크를 하는 것이 좋다. 컴퓨터를 30분 쓰고 난 후 하루 책읽기 30분, 수학공부 30분, 영어공부 10분 등으로 계획을 세우게 한다.

부모들은 인터넷 자료를 검색한 후 중요자료를 출력하여 영역 연령 독서지도 건강정보 등 아이에게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테마별로 파일을 만들어 놓으면 좋다. 또 즐겨 찾는 교육정보 사이트의 커뮤니티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베테랑 엄마에게 직접 메일을 보내 정보를 얻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유해 사이트는

정보통신윤리위원회(www.icec.or.kr)

청소년보호위원회(www.youth.co.kr)

학부모정보감시단(www.cyberparents.or.kr)

에서 차단 프로그램을 내려받으면 막을 수 있다.

○유아기 인터넷 학습은 이렇게

유아의 집중력은 짧게 유지되므로 컴퓨터를 30분 이내로 사용하게 한다. 규칙을 정하는 요령도 ‘30분만 해’ 같은 강압적인 지시보다 ‘30분 인터넷하고 엄마랑 같이 책 읽자’는 식으로 유도하는 것이 좋다.

인터넷을 통해 엄마와 아이가 함께 얘기를 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요즘 열풍인 키우기 게임의 경우 ‘어떤 개구리로 키우고 싶어?’ 등의 질문을 하면서 아이가 상상력과 창의력을 발휘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다.

인터넷 이용 후에는 교재나 장난감과 연계해 확장활동을 해 본다. 동물 키우기 놀이를 한 후 백과사전을 이용해 생애를 살펴보거나 인터넷 사이트에 나왔던 캐릭터를 직접 색칠하고 카드를 만들어 보는 등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다.

유아의 인터넷 학습은 지능 발달단계에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대부분의 유아 사이트에는 진단 테스트가 있으므로 수준에 맞는 학습방법을 찾아 아이가 자신감을 갖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학부모에게 도움이 되는 커뮤니티

사이트

내용

부모넷www.bumonet.or.kr서울시 운영 학부모 커뮤니티 사이트.
부모도움닷컴bumodoum.com아이 양육 경험의 지식을 공유하는 사이트.
한국부모교육센터www.koreabumo.com학부모 교육을 목적으로 함. 아이와 부모에 대한 정보 동시 제공.
유아초등엄마들의 학습지지도법cafe.daum.net/edumom초등, 유아 부모 대상 커뮤니티. 방대한 자료 공유
엘레맘www.elemom.com초등생 학부모 대상 포털 사이트. 정보, 커뮤니티 등 다양한 메뉴 제공.
푸름이닷컴www.prumi.com교육콘텐츠를 제공하는 기업 홈페이지. 자료의 내용이 우수하고 양이 많음.

유아학습 및 유아관련 사이트

사이트

내용

중앙보육정보센터www.educare.or.kr/보육복지정책과 관련된 기관홈페이지로 신뢰성 있는 정보가 제공된다. 교육정책과 관련된 자료를 얻을 수 있고 세부 소모임의 자료도 유용하다.
고가네 유아포럼www.gogane.com/main.htm유아교육에 대해 교사,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자료의 양이 풍부하며 명료하게 제시되어 있다.
에듀맘www.edumom.co.kr/유아교육에 대해 교사,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로 자료의 양이 풍부하며 매우 유용하게 제시되어 있다.
국제MBPA유아교육진흥원www.mbpachild.com/유아교육과 관련된 기관의 정보, 자료제공 사이트로 이론자료(논문), 교수자료 등이 풍부하다.
자료:웅진씽크빅

최창봉 기자 ceric@donga.com


ⓒ 동아일보 & donga.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1. 10:41
이의제기 | 신고

경기도 시험은 지금 공고가 나 있는 상황입니다

접수는 2.28∼3. 3이고요 시험일은 4.22입니다

공무원 시험 공고는 님께서 수시로 각종 공무원 수험사이트에서 확인을 하셔야 합니다

그 곳에서많은 수험정보도 얻을 수 있답니다

추천을 하자면 이그잼(http://www.exam.co.kr/)이나 중앙고시학원(http://www.gosicenter.co.kr/)이 괜찮습니다

아래에 경기도 시험 공고문이 있으니 참고하세요

경기도인사위원회 공고 제 2006 - 7호

2006 경기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

지방공무원법 제35조 및 지방공무원임용령 제62조 규정에 의하여
2006년도 경기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을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06년 2월 8일
경 기 도 인 사 위 원 회

1. 선발예정인원

시험명

직렬·직류·직급

선발
예정
인원

임 용 기 관

합 계

1,086

-

제1회
공개경쟁
임용시험

소 계

870

-

간 호 8 급

27

성남6, 고양12, 광명1, 시흥1, 파주1, 광주5, 안성1,

간호(장) 8급

1

광주1

행 정 9 급

425

수원6, 성남31, 고양48, 부천20, 의정부22,
남양주31, 평택32, 광명3, 시흥16, 화성5, 파주26,
이천26, 구리3, 김포10, 포천26, 안성6, 하남14,
의왕9, 양주27, 오산5, 여주13, 양평18, 동두천8,
과천7, 가평8, 연천5

행정(장) 9급

28

성남5, 고양4, 부천3, 용인7, 의정부3, 남양주1,
평택1, 안성2, 하남1, 양평1

세 무 9 급

34

고양3, 안양4, 평택2, 광명1, 파주5, 이천7, 구리2,
김포1, 여주2, 동두천4, 과천1, 연천2

세무(장) 9급

2

고양1, 용인1

사회복지9급

64

성남1, 고양6, 안양5, 안산15, 의정부3, 남양주2,
평택3, 시흥3, 화성7, 이천4, 김포1, 포천10, 오산1,
여주2, 양평1

사회복지(장)9급

4

고양1, 용인1, 의정부1, 양평1

전 산 9 급

57

도5, 수원3, 성남2, 고양4, 안양3, 의정부6,
남양주2, 평택2, 광명2, 시흥3, 화성1, 파주1,
이천1, 안성2, 하남1, 의왕3, 양주2, 오산2, 여주3,
양평4, 동두천1, 과천2, 가평1, 연천1

전산(장) 9급

5

성남1, 고양1, 용인1, 광주1, 안성1

사 서 9 급

53

도1, 성남2, 부천1, 의정부17, 남양주5, 평택5,
시흥2, 이천1, 김포3, 포천3, 안성2, 의왕4, 오산1,
양평3, 과천2, 가평1

사서(장) 9급

2

의정부2

농 업 9 급

11

고양1, 평택2, 화성2, 파주2, 안성2, 양평2

임 업 9 급

20

도5, 안양1, 안산2, 의정부2, 남양주1, 평택1,
시흥2, 김포1, 포천1, 여주2, 양평1, 가평1

보 건 9 급

30

도3, 성남2, 고양10, 부천2, 평택5, 시흥1, 파주1,
광주1, 의왕1, 오산1, 양평1, 과천2

보건(장) 9급

2

성남1, 고양1

토 목 9 급

76

수원1, 고양10, 안산2, 의정부4, 남양주2, 광명1,
파주3, 이천5, 구리1, 김포3, 포천8, 광주2, 안성5,
의왕4, 양주10, 오산1, 여주1, 양평4, 과천3, 가평4,
연천2

건 축 9 급

29

성남4, 부천1, 안산2, 의정부1, 광명1, 파주1,
이천2, 김포2, 포천5, 광주2, 안성2, 양주3, 여주1,
과천1, 가평1

제1회
제한경쟁특별
임용시험

소 계

148

-

학예연구사

학예일반

2

성남1, 연천1

농업연구사

유전공학

1

도1

임업연구사

임업

1

도1

가축위생
연구사

가축위생

2

도2

보건연구사

공중보건

7

도7

환경연구사

환경

7

도7

농촌지도사

농업

2

이천1, 안성1

생활지도사

생활

2

파주1, 김포1

기 계 9 급

15

도2, 남양주2, 평택1, 시흥2, 포천4, 안성1, 과천1,
연천2

전 기 9 급

14

수원1, 안양1, 의정부1, 남양주4, 시흥3, 포천1,
안성1, 과천2

화 공 9 급

13

도2, 성남1, 남양주3, 시흥3, 포천2, 하남1, 여주1

환 경 9 급

24

안양4, 안산2, 남양주4, 광명1, 시흥3, 이천1,
구리1, 포천2, 안성1, 하남2, 여주2, 동두천1

선 박 9 급

2

수원1, 안산1

지 적 9 급

36

도2, 고양1, 안양7, 안산1, 의정부2, 남양주1,
평택1, 시흥2, 화성3, 파주3, 김포1, 포천3, 안성1,
하남1, 의왕1, 양주1, 오산1, 여주1, 양평1, 가평2

통신기술 9급

20

도1, 고양4, 안양2, 시흥3, 파주1, 김포2, 포천1,
광주2, 하남1, 의왕1, 여주1, 가평1

제2회
공개경쟁
임용시험

소 계

68

-

행 정 7 급

58

도20, 수원4, 성남1, 부천2, 안산2, 용인2, 의정부1,
남양주2, 평택2, 광명2, 시흥1, 화성2, 파주1,
이천1, 구리1, 김포1, 포천1, 광주2, 안성1, 하남1,
의왕1, 양주1, 오산1, 여주1, 양평1, 동두천1,
가평1, 연천1

토 목 7 급

7

도2, 부천1, 안양1, 안산1, 의정부1, 양주1

건 축 7 급

3

부천2, 안산1

※ (장)은 장애인 구분모집임

2. 시험과목

구분

직 급

직렬·직류

시 험 과 목 ( 1 · 2 차 시 험 )

제1회
공개경쟁
임용시험

8 급

간 호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간호관리, 지역사회간호

9 급

행 정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행정법총론, 행정학개론

세 무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세법개론,
회계학(회계원리, 원가회계)

사회복지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행정법총론, 사회복지학개론

전 산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컴퓨터일반, 프로그래밍언어론

사 서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자료조직개론, 정보봉사개론

농 업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재배학개론, 식용작물

임 업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조림, 임업경영

보 건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공중보건, 보건행정

토 목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응용역학개론, 토목설계

건 축

필수(5) : 국어, 영어, 한국사, 건축계획, 건축구조

제1회
제한경쟁
특별
임용시험

학 예
연구사

학예일반

필수(2) : 문화사, 한국문화사
선택(1) : 문화인류학

농 업
연구사

유전공학

필수(2) : 생물학개론, 유전학
선택(1) : 분자생물학

임 업
연구사

임 업

필수(2) : 생물학개론, 조림학
선택(1) : 수목학

가축위생
연구사

가축위생

필수(2) : 수의미생물학, 수의보건학
선택(1) : 수의전염병학

보 건
연구사

공중보건

필수(2) : 보건학, 역학
선택(1) : 환경보건학

환 경
연구사

환 경

필수(2) : 화경공학, 환경화학
선택(1) : 환경보건학

농 촌
지도사

농 업

필수(2) : 재배학, 작물생리학
선택(1) : 토양학

생 활
지도사

생 활

필수(2) : 생활과학학, 농촌사회학
선택(1) : 식품영양학

9 급

기 계

필수(2) : 물리, 기계일반

전 기

필수(2) : 물리, 전기이론

화 공

필수(2) : 화학, 유기공업화학

환 경

필수(2) : 화학, 환경공학개론

선 박

필수(2) : 물리, 선박일반

지 적

필수(2) : 수학, 지적법규

통신기술

필수(2) : 물리, 전자공학개론

제2회
공개경쟁
임용시험

7 급

행 정

필수(7) : 국어(한문포함), 영어, 한국사, 헌법, 행정법,
행정학, 경제학

토 목

필수(7) : 국어(한문포함), 영어, 한국사, 물리학개론,
응용역학, 수리수문학, 토질역학

건 축

필수(7) : 국어(한문포함), 영어, 한국사, 물리학개론,
건축계획학, 건축구조학, 건축시공학

▷ 배점비율 : 매 과목당 100점 만점
▷ 문항형식 및 시험시간 : 매 과목당 객관식 4지 택일형(20문항 및 20분)

3. 시험방법
가. 제1·2차 시험(병합실시) : 선택형 필기시험
나. 제3차 시험 : 서류전형(응시자격, 가산가점 등 서면심사)
다. 제4차 시험 : 면접시험
※ 전단계의 시험에 합격하지 않으면 다음단계(서류전형 및 면접시험)에 응시할 수 없음.

4. 응시자격
가. 지방공무원법 제31조의 결격사유에 해당되거나(적용기준일 : 당해 시험의 면접시험 최종일), 지방공무원임용령 제65조 규정 및 기타 법령에 의하여 응시자격이 정지 당한 자는 응시할 수
없습니다.
나. 응시연령

시 험 명

직 급

응 시 연 령

해당 생년월일

제1 · 2회
공개경쟁 임용시험

7급

20세이상 37세이하

'68.1.1 ~ '86.12.31

8·9급

18세이상 32세이하

'73.1.1 ~ '88.12.31

제1회
제한경쟁특별임용시험

6·7급
연구사 및 지도사

20세이상 45세이하

'60.1.1 ~ '86.12.31

9급

18세이상 40세이하

'65.1.1 ~ '88.12.31

※『제대군인 지원에 관한 법률』제2조에 의한 제대군인, 병역법 제26조제1항 제1호 및
제3호와 제4호에 의한 공익근무요원, 제34조에 의한 공중보건의사·징병전담의사·국제협력
의사, 제34조의2에 의한 공익법무관, 제37조에 의한전문연구요원, 제38조에 의한 산업기능
요원이 복무기간이 만료되어 시험에 응시할 경우(면접시험 최종일 기준으로 전역예정일
또는 복무만료 예정일 전 6월 이내에 있는 자 포함)
⇒ 군복무기간 1년 미만은 1세, 1년 이상∼2년 미만은 2세, 2년 이상은 3세 연장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시행령』제4조에 의한 중증장애인은 3세, 그 밖의
장애인은 2세로 응시상한 연령을 각각 연장함 (시험에 응시하고자 하는 자는 응시원서
접수마감일까지 장애인으로 유효하게 등록되어 있어야 함)
다. 성별에 제한 없음.
라. 자격증·면허증 및 학력·경력제한【당해 시험의 면접시험 최종일 현재 유효한 것】

시험명

직렬·직류·직급

자격증·면허증 및 학력제한

제1회
공개경쟁
임용시험

간 호 8급
(장애인 포함)

간호사

사회복지9급
(장애인 포함)

사회복지사 3급 이상

전 산 9 급
(장애인 포함)

전자계산기 · 정보통신 · 사무자동화 · 정보처리 · 정보기술 ·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 이상,
멀티미디어콘텐츠제작전문가

사 서 9 급
(장애인 포함)

준사서 이상

제1회
제한경쟁
특별
임용시험

학예연구사

학예일반

고고인류학 · 민속학을 전공하고 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 단, 연천군은 고고학을 전공하고 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농업연구사

유전공학

유전공학 · 분자생물학 · 생화학 · 미생물학을 전공하고
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임업연구사

임 업

임학 · 산림자원학을 전공하고 관련분야 석사학위(식물분류)를 취득한 자

가축위생
연구사

가축위생

수의학을 전공하고 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보건연구사

공중보건

미생물학 · 분자생물학 · 역학 · 보건학 · 화학 · 생화학 ·
식품학 · 식품가공학을 전공하고 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환경연구사

환 경

환경공학 · 화학공학 · 환경화학 · 기상학 · 생물학을 전공하고관련분야 석사학위를 취득한 자

농촌지도사

농 업

농학 · 자원식물학 · 농화학 · 환경학 · 식품가공학 · 식품공학 · 미생물학을 전공한 자

생활지도사

생 활

가족학 · 식품학 · 식품가공학 · 가정교육학을 전공한 자

기 계 9 급

컴퓨터(전산)응용가공 · 보일러 · 기계설계 · 공조냉동기계 · 소방설비(기계분야) · 배관설비산업기사 이상 또는
일반기계기사 이상

전 기 9 급

전기 · 전기공사 · 전기기기 · 산업안전 · 품질경영(품질관리) · 소방설비(전기분야) · 승강기산업기사 이상
※ 단, 남양주시는 전기기사 이상

화 공 9 급

화공(공업화학 · 고분자제품제조 포함) · 화학류제조 · 세라믹· 위험물(위험물관리) · 산업안전 · 가스 · 품질경영(품질관리)
· 식품산업기사 이상

환 경 9 급

산업위생관리 · 대기환경 · 수질환경 · 소음진동 ·
폐기물처리산업기사 이상

선 박 9 급

항해사6급 이상

지 적 9 급

지적 · 지적기능산업기사 이상

통신기술9급

정보통신· 통신선로· 무선설비산업기사 이상

▷ 원서 접수시에는 자격증·면허증·학위 취득을 하지 못하였어도 당해 시험의 면접시험 최종일
현재 자격증·면허증·학위 취득이 확실시 되는 경우 응시가능.
※ 위 표에서 ‘전공한 자’라 함은 교육법에 의한 대학교(대학·전문대학을 제외한다)에서
해당학 및 관련계통의 학을 전공하고 졸업한 자(이와 동등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를 포함)
를 말한다.
1. 동등이상의 학력은 대학원에서의 해당학 및 동일계통 학의 전공자(석·박사 학위)도
포함됩니다.(대학교에서 비전공자도 대학원에서 해당학 및 동일계통 학의 석·박사
학위를 취득 또는 면접시험 최종일 현재 취득예정자이면 응시 가능합니다.)
2. 공고문에 게재되어 있는 학과의 명칭이 상이한 경우에는 단과대학장 이상의 명의로
발행한 동일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하는 서류를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서류전형시
지참하여야 하며, 서류의 내용에『우리대학교의 ○○학과는 공고문에 게재한
○○학과와 동일계통의 학과임을 증명함』이라는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야 합니다.
마. 거주지제한(연구직 제외)
2006. 1. 1이전부터 최종시험(당해 면접시험 최종일)일까지 계속하여 주민등록상 주소지
(동 기간중 주민등록 말소 사실이 없어야 함) 또는 본적지경기도내로 되어 있어야 합니다.

5. 응시원서 접수기간 및 시험시행일정

시 험 명

원서접수기간

구 분

시험장소공고

시험일자

합격자발표

제1회
공개경쟁임용시험

2.28∼3. 3
(3월1일 제외)

필기시험

4.12

4.22

5.20

면접시험

5.20

6.13∼16

6.24

제1회
제한경쟁특별임용시험

필기시험

6.28

7. 8

7.29

면접시험

7.29

8.23

8.30

제2회
공개경쟁임용시험

5. 3 ∼ 5. 4

필기시험

8.25

9. 9

9.30

면접시험

9.30

10.17∼18

10.24

▷ 필기시험장소는 경기도 홈페이지(www.gg.go.kr) 시험정보란 및 시·군 게시판에 공고
합니다.(시험시간 ·응시자 유의사항 및 국가기술자격법령 또는 기타 법령에서 정한 가산
자격증 내역포함)
▷ 필기시험 합격자 발표·서류제출 기간 및 면접시험 시행계획은 합격자 발표일에 경기도
홈페이지(www.gg.go.kr) 시험정보란 및 시·군 게시판에 공고하며, 시험성적은 필기시험
불합격자에 한하여 경기도홈페이지 (www.gg.go.kr) 시험정보란 및 공고일로부터 3일간
음성자동전화 (ARS) 060-700-1923번으로 안내합니다.
▷ 필기시험 및 최종합격자 발표는 공고일로부터 3일간 음성자동 전화 (ARS) 060-700-1922번
으로 안내하며, 경기도 홈페이지 (www.gg.go.kr) 시험정보란, 시·군 게시판에 공고합니다.
▷ 필기시험합격자 시험성적은 최종합격자 발표이후 공고일로부터 3일간 음성 자동전화
(ARS)060-700-1923번으로 안내하며, 경기도 홈페이지 (www.gg.go.kr)시험정보란에서
성적조회가 가능합니다.

6. 응시원서 교부 및 접수
가. 응시원서 교부
(1) 교부기간 1회공채·1회특채 : 2006. 2.20 ∼ 3 . 3(토요일·공휴일제외)
2회공채 : 2006. 4 .24 ∼ 5 . 4
(2) 교부처
경기도내 각 시청·군청 인사담당부서, 경기도청 자치행정과 고시담당부서,
경기도청 제2청사 행정관리담당관실
※ 단체 및 우편교부는 하지 않음.
나. 응시원서 접수
(1) 접수기간 1회공채·1회특채 : 2006. 2. 28 ∼ 3. 3(09:00∼18:00) 3. 1 제외
2회공채 : 2006. 5. 3 ∼ 5. 4(09:00∼18:00)
(2) 방문접수 : 임용예정기관(모집 시청·군청)인사담당부서
▷ 접수방법 : 접수기간 내에 응시원서를 작성하여 응시하고자 하는 시청 및 군청에 직접
제출. (대리접수 가능)
단, 경기도 임용예정 직렬은 경기도청 자치행정과 고시담당 부서에서 접수함.
(3) 우편접수 : 임용예정기관(모집 시청·군청)인사담당 부서로 송부
예시) 경기도 전산9급에 응시 하고자 할 때는 경기도청 자치행정과 고시담당부서로 송부
성남시 행정9급에 응시 하고자 할 때는 성남시청 총무과 인사담당부서로 송부
▷ 접수방법 : 접수기간 내에 응시원서를 작성하여 응시하고자 하는 시청 및 군청에 등기로
우송하되, 우송할 때에는 반드시 응시원서에 경기도 수입증지를첩부
시키거나, 5,000원∼7,000원 상당의 우체국 통상환을 동봉하여응시표를 받을
반신용 봉투에 등기우표를 붙이고 받는 사람의 주소, 성명, 우편번호 등을
기재하여야 합니다.
단, 경기도 임용예정 직렬은 경기도청 자치행정과 고시담당 부서로 송부.
(응시원서 뒷면 작성요령 참조, 접수 마감일자의 우체국 소인분까지 유효
합니다.)
▷ 경기도청 및 시·군청 주소 : 경기도 홈페이지(www.gg.go.kr) 시험정보 FAQ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 보기)
다. 접수시 유의사항
(1) 응시원서에는 연락 가능한 전화번호 및 핸드폰 번호를 반드시 기재 하시기 바랍니다.
(2) 동일 날짜에 시행되는 시험의 경우는 중복접수를 할 수 없습니다.
(3) 단체접수는 받지 않으며, 우편접수시 OMR용 응시원서가 구겨지거나 훼손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접수처에 직접 접수 하시기 바랍니다.
(4) 우편접수자의 접수확인은 접수마감일 2주후부터 해당 접수기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5) 2005.12.31일 이전에 인쇄된 응시원서는 사용 할 수 없습니다.
(6) 응시원서에 붙이는 수입증지는 반드시 경기도 수입증지여야 합니다.
(경기도 수입증지 판매처 : 경기도청 민원실 및 시청·군청·구청 민원실)
라. 제출서류
(1) 응시원서 1통 : 응시원서 교부처에서 교부하는 소정양식
(2) 사진 2매 : 응시원서 제출전 6개월이내 촬영한 동일원판의 탈모상반신 사진(3.5cm×4.5cm)
2매를 응시원서 소정란에 붙임.
(최종합격후 동일원판사진 6매 필요- 즉석사진 사용불가)
(3) 응시수수료
▷ 6·7급(연구사 및 지도사 포함) : 7,000원 상당의 경기도 수입증지
▷ 8·9급 : 5,000원 상당의 경기도 수입증지
(4) 확인서류(응시원서 접수시 지참) - 장애인 분야 응시자에 한함.
장애인 구분모집 응시자의 경우 장애인복지법시행령 제2조의 규정에 의한 장애인에
해당하는 자는 시장·군수·구청장이 발행한『장애인복지카드(장애인등록증)』를, 국가유공자
등예우및지원에관한법률시행령 제14조제3항의 규정에 의한 상이등급에 해당하는 자는
국가보훈처 발행『국가유공자증』을 제시하여야 합니다.
단, 장애인 구분모집 응시자가 우편접수를 할 경우에는 위의 확인서류 사본을 동봉하여
접수 하여야 합니다.
※ 장애인은 장애인 구분모집 직렬과 관계 없이 다른 시험에도 비장애인과 동일한
조건으로 응시할 수 있으나, 행정업무 수행능력(필기,시각,청각 등)에 지장이 없어야
합니다.(구분모집 및 일반모집 공통)
▷ 거주지 제한, 연령 등 시험응시에 필요한 자격요건 및 가산특전에 관련된 사항은 응시원서
접수시에는 확인하지 아니하고,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하여 서류전형을 통하여 확인하니,
응시원서 접수시에는 제출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7. 양성평등임용목표제
가. 적용대상 : 임용기관별로 선발예정인원이 5명 이상인 모든 직렬
나. 임용목표 : 시험실시 단계별로 합격예정인원의 30%(인원수 계산시 선발예정인원이 5명 이상
10명 미만일 경우 소수점 이하는 적용하지 않으며, 10명 이상인 경우에는 소수점
이하를 반올림함.)
다. 실시방법 : 어느 한 성(性)의 합격자가 임용 목표비율에 미달할 경우에는 매 과목 4할이상
득점하고 전 과목 평균득점이 합격선 -3점 이상인 성(性)의 응시자 중 고득점자
순으로 목표미달인원 만큼 당초의 합격예정인원을 초과하여 추가 합격처리함.
※ 임용목표인원에 미달하는 인원만큼 해당 성(性)의 응시자를 추가 합격시키는 것이므로
합격선에 든 다른 성(性)의 합격자가 탈락되는 것은 아님.

8. 시험에 있어서의 가산특전
가. 취업보호대상자 및 취업지원대상자(필기시험시행 전일까지 지정된 경우에 한함)
국가유공자등예우및지원에관한법률 등 기타 관계법령에 의한 취업보호대상자 및 취업지원
대상자(국가보훈처 산하 지방보훈청장 또는 보훈지청장이 증명하는자)는 과락에 관계 없이
필기시험의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10%를 가산함. (연구직 및 지도직 제외)
단, 가점을 받아 시험에 합격하는 취업보호(지원)대상자는 기관별·직급별·분야별로 선발예정
인원의 30%를 초과할 수 없음
※ 기관별·직급별·분야별로 선발예정인원이 3명 이하인 경우 가점이 적용되지 않음
(취업보호대상자 및 취업지원대상자 등록여부는 응시자 본인이 사전에 국가보훈처에서
확인하여야 함.)
나. 자격증소지자(필기시험 시행일 전일까지 취득한 자격증에 한함)
(1) 국가기술자격법령에 의한 통신·정보처리 또는 사무관리분야 자격증을 소지한 응시자에게는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한자에 한하여 필기시험의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아래표에 정한 가산비율)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전산직 제외】

구분

직급

자 격 증 등 급 별 가 산 비 율

통신·정보
처리분야

6·7급
연구사
지도사

정보관리기술사,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3%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기술산업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

2%

8·9급

정보관리기술사,
전자계산조직응용기술사,
정보처리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기사,
사무자동화산업기사,
정보처리산업기사,
정보기술산업기사,
전자계산기조직응용산업기사

3%

정보기기운용기능사,
정보처리기능사

2%

사무관리
분야

6급이하
연구사
지도사

컴퓨터활용
능력1급

2%

워드프로
세서1급,
컴퓨터활용
능력 2급

1.5%

워드프로
세서2급,
컴퓨터활용
능력 3급

1%

워드프로
세서3급

0.5%

(2) 행정·세무직·사회복지직 응시자가 아래 자격증을 소지하고 있을 경우 필기시험의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5%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

직 렬

행 정 직

세 무 직

사회복지직

가산자격증

변호사, 변리사, 법무사

변호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변호사

(3) 국가기술자격법령 또는 기타 법령에서 정한 자격증소지자가 당해 분야(전산직 및 제한경쟁
특별임용시험 임용직렬에서 자격증 제한직렬은 제외)시험에 응시할 경우 필기시험의 각
과목별 득점에 각 과목별 만점의 일정비율(아래표에서 정한 가산비율)에 해당하는 점수를
가산함.(임용분야별 가산대상 자격증의 종류는 경기도청 홈페이지 시험정보란 시험제도
게시판 및 경기도지방공무원인사규칙 별표7의4를 참조)

구 분

6·7급 (연구직 및 지도직 포함)

8·9급

기술사,기능장,기사

산업기사

기술사,기능장,기사,산업기사

기능사

가산비율

5%

3%

5%

3%

※ 매 과목 4할 이상 득점자에게만 가산하며, 상기 (1),(2).(3)항 자격증 가산점수는 각각 인정하여 합산함. 단, (1),(2),(3)항 별로 가산대상자격증이 2개 이상 중복되는 경우에는 본인에게 유리한 것 하나만을 가산함.
다. 위의 “가”항과 “나”항에 모두 해당하는 경우는 가산점수를 합산함.
라. 가산특전을 받고자 하는 자는 필기시험 당일에 답안지의 가산점 표기란에 반드시 표기하여야 가산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필기시험시 허위로 가산점을 표기한 자는 지방공무원임용령 제65조에 의거 합격취소 및 향후 5년간 지방공무원 임용을 위한 시험의 응시자격이 정지될 수있습니다.

9. 응시자 유의사항 및 기타사항
가. 기관별로 선발함에 따라 신규임용 후 3년(제한경쟁특별임용시험은 4년)동안은 타 기관
(중앙기관, 타 시·도 및 시·군) 전출을 제한합니다.
나. 응시희망자는 자격요건 등이 적합한지를 우선 판단하여 응시원서를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다. 응시원서상 기재착오 또는 누락이나, 자격 미비자, 거주지제한 미확인 등으로 인한 불이익은 응시자 본인의 책임으로 합니다.
라. 동일 날짜에 시행되는 시험의 경우는 중복접수를 할 수 없으며 전산대조결과 중복접수로 인한 불이익은 본인 책임으로 합니다.
마. 위의 공고사항 중 선발예정인원, 응시자격, 시험시행일정, 응시수수료 등은 추후 변경 될 수
있습니다.
바. 응시자는 응시표, 답안지, 시험시간 및 장소공고 등에서 정한 주의사항에 유의 하여야 하며,
이를 준수하지 않을 경우 본인의 불이익이 됩니다.
사. 경쟁은 임용기관(도, 시·군별) 및 직급·직렬별로 실시됩니다.
아. 접수된 응시원서는 반환하지 않으며, 원서접수 후 응시기관 및 응시직렬 등은 변경 할 수
없습니다.
자. 자원봉사실적 반영은 원서접수 마감일부터 최근 2년이내(이전)에 행한 실적으로 합니다.
(필기시험 합격자에 한함)
차. 제한경쟁특별임용시험으로 시행하고 있는 일부직렬(기계·전기·환경·도시계획·지적·통신기술)은 2007년부터는 공개경쟁임용시험으로 전환되오니 구체적인 내용은경기넷 → 시험정보 → FAQ의 50번에 게시된 공고문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바로가기
카. 현재 계획은 없으나 하반기에 공고하는 공채시험(제한경쟁특별임용시험)의 경우 응시자격의 거주지 제한은 2006. 7. 1일 이전에 주민등록상의 주소 또는 본적이 경기도내인 자로 할 예정
입니다.
타.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청 자치행정과 고시담당 부서 및 시·군 인사담당 부서로 문의 하시기
바랍니다.
· 경 기 도 청 : 수원시 팔달구 도청앞길 63(매산로3가1) 우편번호 442-781☎ 031-249-4044∼7
· 경기도 제2청사 : 의정부시 제2청사1로 66(신곡동 800) 우편번호 480-764☎ 031-850-2163∼4
※ 시험정보안내 : 경기도홈페이지(www.gg.go.kr)내 시험정보란


경기도청 및 시청·군청 주소
(2006. 2. 8 현재)

※ ( )은 법정동 주소입니다.

기 관

시험담당부서

주 소

우편번호

전화번호

경기도청

자치행정과 고시담당

수원시 팔달구 도청앞길 63번지
(매산로3가1)

442-781

249-4044∼7

수원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수원시 팔달구 동서로 265번지
(인계동 1111)

442-701

228-2109

성남시청

총무과 인사팀

성남시 수정구 청백리길 10번지
(태평2동 3309)

461-700

729-3132

고양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고양시 덕양구 시청로 10
(주교동 600)

412-701

961-2763

부천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부천시 원미구 소향길 109번지
(중1동 1156)

420-736

032-320-2114

안양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안양시 동안구 시민로 205
(부림동 1509)

431-728

389-2113

안산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안산시 단원구 화랑로 110번지
(고잔동 515)

425-702

481-3107

용인시청

행정과 인사담당

용인시 처인구 용인대로 735
(삼가동 556)

449-704

324-3080

의정부시청

총무과 시정담당

의정부시 의정로 43
(의정부동 326-2)

480-703

828-2125

남양주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남양주시 경춘로 709
(금곡동 185-10)

472-701

590-2121

평택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평택시 남부문화의거리 10
(비전동 846번지)

450-702

659-4208

광명시청

행정지원과 인사복지담당

광명시 시청로 20(철산3동 222-1)

423-702

02-2680-2108

시흥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시흥시 시청로 20번지(장현동 300)

429-701

310-3115

군포시청

행정지원과 인사담당

군포시 청백리길 22
(금정동 844번지)

435-701

390-0113

화성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화성시 시청길 133
(남양동 2000번지)

445-702

369-2105

파주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파주시 시청로 66(아동동 215번지)

413-719

940-4123

이천시청

자치행정과 인사담당

이천시 남천로 59번지
(중리동 187-2)

467-717

644-2107

구리시청

총무과 시정팀

구리시 아차산길 62번지
(교문동 390-1)

471-702

550-2122

김포시청

행정과 인사조직담당

김포시 시청앞길 40(사우동 263-1)

415-728

980-2103

포천시청

자치행정과 시정담당

포천시 신읍동 58-2

487-701

538-2112

광주시청

총무과 인사담당

광주시 송정동 120-8

464-720

760-2731

안성시청

총무과 행정담당

안성시 시청길 25번지
(봉산동 31-3)

456-701

678-2124

하남시청

총무과 시정팀

하남시 시청길 2번지(신장동 520)

465-701

790-5113

의왕시청

주민자치과 자치행정담당

의왕시 시청로 11(고천동 171)

437-701

345-2122

양주시청

총무과 시정담당

양주시 남방동 1-1

482-709

820-2147

오산시청

자치행정과 시정담당

오산시 성호대로 165번지
(오산동 915)

447-701

370-3124

여주군청

총무과 인사팀

여주군 여주읍 청심로 184
(홍문리 4)

469-704

887-2116

양평군청

총무과 자치행정담당

양평군 양평읍 양근리 448-8

476-703

770-2123

동두천시청

총무과 시정담당

동두천시 시청길 27번지
(생연동 438)

483-708

860-2123

과천시청

총무과 시정담당

과천시 관문로 72번지(중앙동 1-3)

427-714

02-3677-2112

가평군청

총무과 인사담당

가평군 가평읍 읍내리 513번지

477-701

580-2112

연천군청

자치행정과 행정담당

연천군 연천읍 차탄리 290-1

486-701

839-2759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자공부 제1수칙…매일 쓰고 또 쓰는 것  (0) 2006.03.22
인터넷 활용 학습법 가이드  (0) 2006.03.22
컴퓨터활용능력시험  (0) 2006.03.21
컴자격증 가산점  (0) 2006.03.21
OCX ?  (0) 2005.10.25
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1. 10:37
[취득방법]
시행처 : 대한상공회의소
응시자격 : 제한없음
시험과목 :

1급 - [필기] 컴퓨터 일반, 스프레드시트 일반, 데이터베이스 일반[실기] 스프레드시트 실무, 데이터베이스 실무
2,3급 - [필기] 컴퓨터 일반, 스프레드시트 일반[실기] 스프레드시트 실무 >> 자세히 보기
합격기준 : [필기] 매과목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평균 60점 이상 [실기]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1급은 매과목 70점 이상)
[2006년도 시험일정 - 컴퓨터활용능력 1,2,3 급] 자세히 보기
구분 인터넷접수 방문접수 시험일 발표일
1필기 2006.01.10 ~ 2006.01.162006.01.182006.02.192006.03.15
실기 2006.03.16 ~ 2006.03.22- 2006.04.092006.05.16
2필기 2006.04.11 ~ 2006.04.172006.04.192006.05.142006.06.07
실기 2006.06.08 ~ 2006.06.14-2006.07.022006.08.08
3필기 2006.06.14 ~ 2006.06.202006.06.222006.07.232006.08.17
실기 2006.08.17 ~ 2006.08.23-2006.09.102006.10.17
4필기 2006.08.24 ~ 2006.08.302006.09.012006.09.242006.10.30
실기 2006.11.01 ~ 2006.11.07-2006.11.262006.12.29

산업계의 정보화가 진전되면서 영업,재무, 생산 등의 분야에 대한 경영분석은 물론 데이타관리가 필수적임.
<컴퓨터활용능력> 검정은 사무자동화의 필수 프로그램인 스프레드 시트, 데이터베이스활용능력을 평가하는 국가자격시험임.


시험과목

1급시험방법

시험과목

출제형태시험시간
1급필기시험* 컴퓨터일반 *스프레드시트 일반
* 데이터베이스 일반
객관식 60문항60분
실기시험* 스프레드시트 실무
*
데이터베이스 실무
컴퓨터작업형90분
2급필기시험* 컴퓨터일반 * 스프레드시트 일반객관식 40문항40분
실기시험* 스프레드시트 실무컴퓨터작업형40분
3급필기시험* 컴퓨터일반 * 스프레드시트 일반객관식 40문항40분
실기시험* 스프레드시트 실무컴퓨터작업형40분

시험시작시간

필기: 1급 (시험시작시간 : 10:10) 2급(시험시작시간 : 09:00) 3급 (시험시작시간 : 10:10)
실기:2~3급 별도지정된 시험시간(40분) 1급 (90분)

실기시험 수험프로그램: MS_Office2000, MS_Office XP

합격 결정 기준
필기: 매과목 100점 만점에 과목당 40점 이상, 평균 60점 이상
실기: 100점 만점에 70점 이상 (1급은 매과목 70점이상)

수험료
필기시험:8,600원
실기시험:10,800원

시행회수
연4회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터넷 활용 학습법 가이드  (0) 2006.03.22
2006 경기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  (0) 2006.03.21
컴자격증 가산점  (0) 2006.03.21
OCX ?  (0) 2005.10.25
용어속에 담긴 일본식 사관...  (0) 2005.05.12
posted by 구름너머 2006. 3. 21. 10:32
워드프로세서 1급 2급 3급 자격증 공무원시험가산점 | 컴 자격증2006/02/16 10:22
http://blog.naver.com/daiho38/20021625205

컴 자격증은 공무원 시험은 물론 임용고시 에서도 합격에 당락에 영향을 줄만한 가산점 제도가 있습니다.
기타 자격시험에 비해 단 기간에 쉽게 취득할수 있는자격증이오니.
공무원시험자나 임용고시 기타 국가고시 시험자는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2002년 대입부터 자격증을 소지한 학생에게 가산점을 주는 정보소양인증제도
가 적용되기 때문에 대입에도 유리합니다.

7 9급 공무원워드프로세스자격시험 가산점
워드프로세스 1급 :1.5 %
워드프로세스 2급 :1 %
워드프로세스 3급 :0.5 %


7 9급 공무원컴퓨터활용능력 자격증 가산점
컴퓨터 활용 능력 1급: 2 %
컴퓨터 활용 능력 2급: 1.5 %
컴퓨터 활용 능력 3급: 1 %

정보처리기사 자격증 보유자 가산점
7급 시험자:2 %
9급 시험자 : 3 %

사무자동화산업기사
9급 시험자:3 %
7급 시험자:2 %

정보처리산업기사 보유 자격자 가산점
9급 시함자 : 3%
7급 시험자 : 2%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06 경기도 지방공무원 임용시험 시행계획 공고  (0) 2006.03.21
컴퓨터활용능력시험  (0) 2006.03.21
OCX ?  (0) 2005.10.25
용어속에 담긴 일본식 사관...  (0) 2005.05.12
알아보자-03  (1) 200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