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20. 22:05
DECLARE SECTION에서 선언할 필요가 없습니다.
ORACLE8 Server 에러 중에서 자주 발생되는 20가지 에러에 대해 미리 정의되어 있는
EXCEPTION입니다.
해당 EXCEPTION 처리 루틴에서 미리 정의된 EXCEPTION명을 참조하여 에러를
처리합니다.

PREDEFINED EXCEPTION의 종류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EXCEPTION명 에러번호 설명
NO_DATA_FOUND ORA-01403 데이터를 반환하지 않은 SELECT문
TOO_MANY_ROWS ORA-01422 두 개 이상을 반환한 SELECT문
INVALID_CURSOR ORA-01001 잘못된 CURSOR 연산 발생
ZERO_DIVIDE ORA-01476 0으로 나누기
DUP_VAL_ON_INDEX ORA-00001 UNIQUE COLUMN에 중복된 값을 입력할 때
CURSOR_ALREADY_OPEN ORA-06511 이미 열러 있는 커서를 여는 경우
INVALID_NUMBER ORA-01722 문자열을 숫자로 전환하지 못한 경우
LOGIN_DENIED ORA-01017 유효하지 않은 사용자로 LOGON 시도
NOT_LOGGED_ON ORA-01012 PL/SQL 프로그램이 오라클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호출
PROGRAM_ERROR ORA-06501 PL/SQL 내부에 오류
STORAGE_ERROR ORA-06500 PL/SQL에 메모리 부족
TIMEOUT_ON_RESOURCE ORA-00051 오라클이 자원을 기다리는 동안 시간 초과
발생
VALUE_ERROR ORA-06502 산술, 절단 등에서 크기가 다른 오류 발생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Oracle 기동/정지  (0) 2005.01.10
listener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0) 2005.01.10
Process죽이기...  (0) 2004.12.16
테이블명, 컬럼명 변경 방법?  (0) 2004.12.13
NVL과 NVL2 함수에 대하여  (0) 2004.12.03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16. 16:52

$>sqlplus '/as sysdba'

SQL> oradebug setospid 21629
Oracle pid: 19, Unix process pid: 21629, image: oracle@pops (TNS V1-V3)
SQL> oradebug suspend
Statement processed.

SELECT /*+ CHOOSE */
S.SERIAL# "Serial#",
p.spid, p.pid, si.sid, s.audsid
FROM V$SESSION S, V$PROCESS P, sys.V_$SESS_IO si
WHERE S.paddr = P.addr(+)
and si.sid(+)=s.sid
AND (s.username IS NOT NULL) AND (NVL (s.osuser, 'x') <> 'SYSTEM') AND (s.TYPE <> 'BACKGROUND');

--세션 죽이기
--형식: alter system kill session 'sid, serial#'
alter system kill session '165, 34399' ;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listener 패스워드를 설정하기  (0) 2005.01.10
PREDEFINED EXCEPTION의 종류  (0) 2004.12.20
테이블명, 컬럼명 변경 방법?  (0) 2004.12.13
NVL과 NVL2 함수에 대하여  (0) 2004.12.03
PL/SQL 에서 NULL 체크하기  (0) 2004.11.30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13. 21:15

테이블명, 컬럼명 변경 방법?

테이블명은 2가지 방식으로 고칠 수 있습니다.

SQL * PLUS 의 RENAME A TO B 명령이 하나 있고여..

SQL 문법에서 ALTER TABLE A RENAME TO B 가 있습니다.

컬럼명을 바꾸는게 문제일 텐데, 예전 같으면 컬럼명을 잘못 만들면, 쑈를 많이 했져... 테이블 하나 더 생성해 놓고 데이터 옮긴 다음 테이블 바꾸고, 다른 테이블 삭제하고...^^

근데 Oracle 9i R2에 이르러서 드디어 컬럼명 바꾸는 기능이 추가되었군여...

ALTER TABLE A RENAME COLUMN COL1 TO COL2 ; 임당...

'ORACLE' 카테고리의 다른 글

PREDEFINED EXCEPTION의 종류  (0) 2004.12.20
Process죽이기...  (0) 2004.12.16
NVL과 NVL2 함수에 대하여  (0) 2004.12.03
PL/SQL 에서 NULL 체크하기  (0) 2004.11.30
SQL*Plus AUTOTRACE  (0) 2004.10.15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10. 09:49
부동산 '부부 공동명의' 하면 세금 덜 낸다
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까지 절세 효과
환율 하락기는 엔화·금으로 대체 해볼만
신한Private Bank 자문그룹 고준석 부동산재테크팀장, 한상언 재테크팀장, 이승호 상품기획팀장, 황재규 세무사
입력 : 2004.11.28 17:26 59'


▲ 원·달러환율 하락에 따라 금 투자 상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조흥은행과 신한은행은 국제 금가격과 연동해 수익률이 결정되는‘제3차 골드지수연동 파워인덱스 정기예금’을 다음 달 6일까지 판매한다.
강남구 대치동에 사는 김모(52)씨는 내년부터 새로 시행되는 종합부동산세 대상에 해당될 것 같아 고민이다. 지금 살고 있는 아파트 외에는 다른 부동산이 없어 별다른 세금 고민은 하지 않았었는데 새로운 고민거리가 생긴 셈이다. 김씨는 최근 참석한 동창회에서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해두는 것이 여러모로 유리하다는 말을 들었다. 이미 발 빠른 몇 명의 친구들은 부동산을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돌렸다는 얘기를 들을 수 있었다. 이에 김씨는 부동산 공동명의에 관한 사항에 대해 자문해 왔다. 또 원·달러 환율이 계속적으로 하락하는데 이미 가입한 외화예금에는 별 영향이 없는지도 물어왔다.

■공동명의로 부동산 세금 절약

부동산의 소유권을 공동명의로 할 경우에는 여러모로 세금 절감을 기대할 수 있어 주목할 만하다. 하나의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소유할 경우 소유지분이 나눠짐에 따라 금액이 클수록 세율이 높아지는 누진세는 그만큼 세금이 줄어드는 효과를 얻게 된다.

부동산을 공동명의로 등기함으로써 절세 효과를 볼 수 있는 세금으로는 양도소득세 및 종합소득세를 비롯하여 앞으로 시행될 종합부동산세까지 해당된다.

양도소득세를 예를 들어보면 부동산 양도차익 1억원이 발생할 경우 배우자 한 사람 소유라면 양도세를 2673만원 정도 납부해야 한다. 하지만 만일 이 부동산을 배우자와 공동명의로 소유하고 있었다고 하면 양도세를 각자 990만원씩만 납부하면 돼 결과적으로 693만원의 세금을 줄일 수 있다. 양도소득세는 양도차익이 클수록 높은 세율이 적용되는 누진세율 구도이기 때문에 양도차익을 부부 두 사람 앞으로 나누게 되면서 그만큼 절세가 가능해진 것이다.

종합부동산세의 경우도 마찬가지 효과가 있다. 가령 국세청 기준시가로 12억원인 도곡동 타워팰리스의 경우 한 사람 소유로 소유권 등기가 돼있을 경우에는 재산세 274만원과 종합부동산세 75만원을 부담하게 된다. 하지만 소유권을 부부 공동명의로 하는 경우에는 종합부동산세 대상에서 제외된다. 종부세의 과세대상은 주택의 경우 기준시가 9억원을 초과하는 경우에만 해당하기 때문에 부부 각각의 소유 지분으로 평가할 때에는 이 금액에 미달하여 과세대상에서 제외되기 때문이다.

이 밖에 부동산 임대에 따른 종합소득세도 소유권을 단독 명의로 했을 경우보다는 공동명의로 해 각자 임대사업을 하는 경우 세금을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1억원의 임대소득이 발생한 경우 한 사람 소유의 임대 건물이면 2609만원의 임대소득세를 납부해야 하지만 해당 건물을 두 사람이 나눠 각자 임대사업을 하는 경우에는 1884만원으로 약 725만원을 절세할 수 있다.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8. 15:35

내 휴대폰에 060 스팸 전화 오지 않게 하는 방법

한때 인터넷 스팸 메일이 사회문제가 되어 각종 대책이 많이 세워져서 최근에는 좀 주춤하는 듯 합니다. 하지만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스팸 전화에 시달리고 있지만 정부차원의 특별한 대책이 없어 과거 스팸 메일보다 더 사람들을 스트레스 받게 하고 있습니다.요즘 휴대폰을 소지하고 있는 사람들이라면 누구나 스트레스를 받고 있는 스팸 전화 문제에 대해 이야기 하고자 합니다.

어쩌다 휴대폰 벨소리가 울려 반가운 마음에 전화를 받으면 “긴급 카드대출....어쩌구 저쩌구..”하는 목소리가 전화 받는 사람의 의사와는 상관없이 기계에 의해 녹음된 목소리가 흘러나오는 전화를 누구나 한번씩 받았던 경험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소리를 듣다가 신경질 적으로 전화기를 닫았던 기억을 누구나 갖고 있습니다.

이런 광고 전화에 스트레스를 받다 어떻게 하면 광고전화의 스트레스를 조금이라도 면할 수 있을까 방법을 강구하다가 광고로 오는 전화를 전화가 올 때마다 전화기에다 ‘광고전화’하고 등록을 시켰습니다. 한 달 정도 지났더니 ‘광고전화’로 등록을 시킨 전화만도 무려 20여 개가 넘는데도 광고전화는 그치질 않고 요즘도 하루에 서 너 통은 꼭 오는 실정입니다.

다행히 중복 되서 오는 광고전화는 전화기에 미리 ‘광고전화’로 발신자가 뜨니까 안받으면 되는데 중복이 안 된 새로운 전화는 어쩔 수 없이 기계목소리를 또 듣고 스트레스를 받아야만 했습니다.

그런데 우연히 친구에게서 들으니 자신이 가입한 통신회사에 광고전화 차단 요청을 하면 된다고 하기에 휴대폰으로 114를 눌러 광고전화 차단 요청을 했습니다. 어느 휴대폰이든 114만 누르면 자기가 가입한 휴대전화 회사의 안내전화와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그렇게 차단 요청을 하고 이젠 광고전화가 줄겠지 하고 기대를 했는데 광고전화가 줄기는커녕 오히려 최근에는 이런 전화의 빈도가 점점 더 늘어나고 처음에는 060-600에 몇 번으로 전화가 오더니, 점점 060-700, 060-800, 060-900 등으로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심지어는 02-6325-1159 식으로 전혀 광고임을 알 수 없는 전화번호로 전화가 오고 있습니다.

한달 여를 시달리다 다시 휴대폰 회사에 전화를 걸어 왜 차단요청을 했는데 계속해서 전화가 더 오냐고 물었더니, 광고전화를 뿌리는 회사가 한군데가 아니고 네 군데나 되기에 차단이 힘들다고 말하면서 각각 그 회사에 전화를 해서 차단 요청을 하면 더욱 쉽게 차단이 된다는 것이었습니다.그러면서 각 광고회사별로 전화번호를 알려주기에 시간을 내어 차단요청을 일일이 다 했습니다. 그랬더니 정말로 광고전화가 현저하게 줄어들어 여기에 그 방법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온 국민이 알고 미리 차단 요청을 하면 많은 사람이 스팸 전화의 스트레스로부터 해방되지 않을까 해서 말입니다.

먼저 060-600으로 오는 전화는 데이콤을 거쳐서 광고 전화사업을 하고 있는 업체이기에

데이콤 안내센터 전화번호 1544-0001 로 전화를 해서 차단요청을 하면 되고,

060-700으로 오는 전화는 한국통신을 거쳐서 오기에

02-717-0200 으로 차단요청을 하면 되고,

060-800으로 오는 전화는 하나로 통신을 거쳐서 오기에

각 지역별 지역번호를 누르고 106 번으로 차단요청을 하면 되고,

060-900으로 오는 전화는 온세통신을 거쳐서 오기에

1688-1000 번으로 차단요청을 하면 됩니다.

그리고 전화를 하실 때, 안내 멘트에 차단요청 메뉴가 없으니까

그냥 상담원연결 번호를 누르시거나 0번을 누르셔서

아무 상담원이나 연결되면 전화차단 요청을 하면 됩니다.

차단요청을 더 확실하게 하는 방법은

반드시 차단요청 상담원의 이름을 받아 적어 두셨다가

차단이 제대로 안 될 시에는 그 상담원을 찾아 재차 항의를 하거나 요구를 하면

반드시 차단이 될 거라고 생각됩니다.

앞에서 말씀 드린 일반전화로 오는 광고는 아직까지 어떻게 차단하는지를 방법을 못 찾았는데 혹 아시는 분은 게시판에 올려주시면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받을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미디어다음 / 조혜은 기자]

'좋은생각 좋은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극기 바로 그리기  (0) 2005.03.04
생활상식 모음 100선  (1) 2005.01.10
당신은 거북목 증후군...?  (0) 2004.11.17
은행에 대한 이야기  (0) 2004.11.03
모자  (0) 2004.10.12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8. 10:51

출처 : cafe.naver.com/crazysystem

1. 커널 bit 확인하기

% getconf KERNEL_BITS

2. ps -o 옵션을 사용하려면 다음 환경변수를 설정한다.

% setenv UNIX95 XPG4

3. 기타 명령들...

% ipcs -b (IPC 상태 출력)

% bdf (df 와 동일한 명령어)

% model (모델명 출력)

% ndd -get /dev/tcp tcp_fin_wait_2_timeout (FIN WAIT 타임아웃시간 출력, ndd 는 network tuning)

4. 메모리 보는 명령

% dmesg

% swapinfo

% vmstat

5. DEPOT 소프트웨어 설치

% /usr/sbin/swinstall -s /tmp/sdk14_14202_1100.depot

(이미 설치되어있는것을 재설치할 경우 reinstall 옵션을 UI상에서 추가해준다.)

6. CPIO 풀기

% cat *.cpio | cpio -idcv

또는

% cpio -idcmv < *.cpio

7. Network Configuration (set_parms 의 사용)

i)시스템의 이름 및 네트웍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수정할 때

# /etc/set_parms initial

ii) 시스템의 IP 어드레스를 수정할 때

# /etc/set_parms ip_address

iii) 시스템의 게이트웨이, 서브넷 마스크, DNS 및 NIS정보를 수정할 때
# /etc/set_parms addl_netwrk

iv) /etc/set_parms 를 실행시키면 사용법을 알 수 있다.

v) 수동으로 했던 방법 (IP주소 변경)

# ifconfig lan0 down

# ifconfig lan0 192.168.0.3 netmask 255.255.255.0up

# route add default 192.168.0.1

# vi /etc/hosts

...

192.168.0.3 myhpux.domain.com myhpux

...

# vi /etc/rc.config.d/netconf

...

INTERFACE_NAME[0]=lan0
IP_ADDRESS[0]=192.168.0.3

SUBNET_MASK[0]=255.255.255.0
BROADCAST_ADDRESS[0]=192.168.0.255
INTERFACE_STATE[0]=up
DHCP_ENABLE[0]=0


ROUTE_DESTINATION[0]=default
ROUTE_GATEWAY[0]=192.168.0.1
ROUTE_COUNT[0]=1

...

8. Network 관리 command

i) 네트웍H/W 의 이상을 진단하는 명령

# lanadmin(landiag)

ii) 네트웍 구성 및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 ifconfig
# ifconfig lan0 (상태 확인할 때)
# ifconfig lan0 192.1.1.1 netmask 255.255.255.0 up (네트웍 구성할 때)
iii) 네트웍의 routing 상태를 확인함
# netstat -r

iv) 네트웍의 H/W address(예: 0x0060b018cd17)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 lanscan

9. 물리적 디스크 정보 확인하기

i) 우선 설치된 디스크의 리스트를 확인

# ls /dev/rdsk/*

ii)diskinfo 명령을 이용하여 디스크의 상세 정보를 확인한다.

# diskinfo /dev/rdsk/XXXX

ex)

# ls /dev/rdsk/*
/dev/rdsk/c2t1d0 /dev/rdsk/c3t15d0


# diskinfo /dev/rdsk/c2t1d0
SCSI describe of /dev/rdsk/c2t1d0:
vendor: HP
product id: DVD-ROM 305
type: CD-ROM
size: 0 Kbytes
bytes per sector: 0


# diskinfo /dev/rdsk/c3t15d0
SCSI describe of /dev/rdsk/c3t15d0:
vendor: HP 73.4G
product id: MAS3735NC
type: direct access
size: 71687369 Kbytes
bytes per sector: 512

10. 시스템 소프트웨어 설치 내역 확인 (by superuser)

# /usr/sbin/swlist -l product

11. HPUX 에서 GSP 들어가기 -> 부팅되는 중에 Ctrl-B

12. ISL 모드에서 싱글 유저로 부팅하기

OS 부팅되기 직전 10초가량 시간내에 Enter를 치면 ??? 상태로 진입한다.

(display 에 잘 나와있으니 주의해서 보면 알수있음)

???> boot

ISL? Y/N> Y

ISL> boot -is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세스의 상태를 얻는 매크로  (0) 2005.03.14
crontab 등록하기  (2) 2005.02.23
/etc/nsswitch.conf  (0) 2004.12.08
네트워크 구성  (0) 2004.12.08
Unix 서버 비교  (0) 2004.11.23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8. 10:43

hosts: files [NOTFOUND=continue] dns

===============================================================

#
# /etc/nsswitch.hp_defaults:
#
# @(#)B.11.11_LR
#
# An example file that could be copied over to /etc/nsswitch.conf; it
# uses NIS (YP) in conjunction with files.
#

passwd: compat
group: compat
hosts: dns [NOTFOUND=return] nis [NOTFOUND=return] files
networks: nis [NOTFOUND=return] files
protocols: nis [NOTFOUND=return] files
rpc: nis [NOTFOUND=return] files
publickey: nis [NOTFOUND=return] files
netgroup: nis [NOTFOUND=return] files
automount: files nis
aliases: files nis
services: nis [NOTFOUND=return] files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rontab 등록하기  (2) 2005.02.23
HPUX11 관리 팁 | HP-UX  (0) 2004.12.08
네트워크 구성  (0) 2004.12.08
Unix 서버 비교  (0) 2004.11.23
MAC 어드레스 확인방법(유닉스)  (0) 2004.11.18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2. 8. 10:29

12 Network

12.1 Network 구성

n set_parms 사용

set_parms 는 시스템의 N/W과 관련된 사항을 구성할 때 사용하는 프로그램으로

다음과 같은 arguments를 사용한다.

set_parms argument

Comments

Hostname

Hostname 을 설정

Timezone

Time zone 을 설정

date_time

Date and time 을 설정

root_passwd

Root passwd 을 설정

Ip_address

Internet protocol address 를 설정

addl_network

Subnet mask, DNS, NIS 등 설정

Initial

위의 모든 사항을 설정

None

Set_parms 의 사용법 설명

[예제] # set_parms initial

n 수동 구성

configuration file 에 구성하기

# vi /etc/rc.config.d/netconf

network enable 시키기

# /sbin/init.d/net start

networking 확인

# netstat ?in

# ifconfig lan0

# ping 192.1.1.1

n SAM 이용

# sam a Networking and Communications 선택

12.2 네트웍 관리 Command

- lanadmin(landiag) 네트웍H/W 의 이상을 진단하는 명령

- ifconfig 네트웍 구성 및 확인을 위해 사용하는 명령

[예제1] # ifconfig lan0 a 상태 확인할 때

[예제2] # ifconfig lan0 192.1.1.1 netmask 255.255.255.0 up

a 네트웍 구성할 때 (임시로 할당)

- netstat -r 네트웍의 routing 상태를 확인함

- lanscan 설치되어 있는 NIC(Network Interface Card)의 address

(예: 0x0060b018cd17) 및 상태를 확인할 수 있음

- hostname 시스템 이름을 알고 싶을 때 사용

- ping 네트웍 작동을 테스트할 때 사용

12.3 네트웍에 문제발생시 확인할 사항

하드웨어 문제인가 확인한다. 또한LAN 케이블이 HUB와 정상적으로 연결

되 있는지를 확인한다. 이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으로는 “lanadmin”(또는

[예제] # lanadmin

ð lan 또는 l 이라고 입력함

ð display 또는 d 라고 입력함

(이 때 LAN하드웨어 상태를 볼 수 있음)

ð reset ( H/W적인 문제가 있다면 reset시간이 오래 걸림)

landiag)이 있다.

하드웨어에 이상이 없다면 IP Address가 정상적으로 부여되었나 확인한다.

[예제] # ifconfig lan0

lan0: flags=863<UP,BROADCAST,NOTRAILERS,RUNNING,MULTICAST>

inet 15.32.13.19 netmask fffff800 broadcast 15.32.15.255

ð 여기서 “UP” 되었나 확인하고, IP Address와 netmask가 정상적인지 확인한다.

ð /etc/rc.config.d/netconf 에 제대로 설정되었는지 확인한다.

“ping” 명령으로 상대편과의 통신을 테스트 한다.

[예제] # ping 15.32.13.18

Name resolution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한다.

[예제] # nslookup 15.32.13.18

ð hostname 과 IP address를 확인

ð # vi /etc/hosts 의 내용 확인

ð # ll /etc/resolv.conf : 이 파일이 존재하면 DNS Server에 시스템이 등록되어 있는지 확인해야 함

1.4 Name resolution 순서

n 개요

nsswitch.conf 파일은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정보를 얻기 위해 library routine이 사용되는 조회 정책을 명시하는 파일이다. 데이터베이스의 예로는 DNS, NIS 또는 /etc/hosts파일(local file) 등이 있다.

n 사용법

- /etc/nsswitch.conf 에 조회 순서를 명시하여 구성한다. (SAM으로도 가능)

- 예제 파일 : /etc/nsswitch.* 로 예제 파일 존재

- 호스트이름 조회가 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지를 알기 위해선 다음 명령을 이용

한다.

# nslookup 또는 # nslookup hostname

ð 조회하고자 하는 호스트이름을 덧붙이면 DNS 나 /etc/hosts에서 발견된원래의 호스트이름과 IP Address가 출력된다.


부록 1. HP-UX 명령어

n User-level commands

bdf 파일 시스템의 통계, 용량 공간을 나타낸다.

chmod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permission을 바꾼다.

[예제] $ chmod 600 private

chown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ownership을 바꾼다.

[예제] /dev/lp의 ownership을 lp로 변경

$ chown lp /dev/lp

cp 파일 및 디렉토리를 복사한다.

[예제] /etc/passwd를 /etc/passwd.old로 복사

$ cp /etc/passwd /etc/passwd.old

[예제] /etc 디렉토리 및 하부의 파일들을 /tmp/etc로 복사

$ cp ?r /etc /tmp

diskinfo 시스템에 설치되어 있는 디스크의 정보를 보여줌.

[예제] $ diskinfo /dev/rdsk/c0t6d0

du 디스크 사용에 관한 정보를 보여줌.

[예제] /tmp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들의 크기를 KB단위로 보여줌

$ du ?s ?k /tmp

exit 로그아웃하고 쉘 및 쉘 프로그램을 종료.

file 파일 내용의 성격을 보여줌.

[예제] /stand 디렉토리 아래에 있는 파일들의 성격을 보여줌

$ file /stand/*

find 파일 시스템에서 파일의 위치를 찾는다.

[예제] root 밑에 있는 모든 “core” 파일을 찾는 법

$ find / -name core -print

grep 파일 내에서 특정 패턴을 찾는다.

[예제] $ grep -l ifconfig /sbin/init.d/*

kill 프로세스를 죽일 때 사용함.

[예제] $ kill -9 924

lp 시스템의 기본 프린터에 파일을 프린트.

[예제] $ lp myfile

lpstat ?t 모든 프린터 스풀러에 관련된 정보를 보여줌.

ls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보여줌.

[예제] /stand 디렉토리에 있는 모든 파일 명을 보기

$ ls /stand

ll ll은 “ls ?l”과 같다. 파일들의 이름 및 정보를 보여줌.

man 명령 및 시스템 파일에 대한 사용법을 보여줌.

[예제] $ man ls

[참고] man page 참조 시 편리한 방법

$ man command | col ?b > /tmp/command

$ vi /tmp/command

more 텍스트 파일 내용을 페이지 단위로 봄.

[예제] $more /.profile

more가 수행되는 동안 한 페이지의 텍스트를 더 보려면 SPACEBAR 를 누른다. 한 줄을 더 보기 위해서는 ENTER 를 누른다.

mv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이름을 바꾼다.

[예제] oldfile을 newfile로 바꾸기 변경

$ mv oldfile newfile

ps ?ef 시스템에서 수행되고 있는 모든 프로세스를 보여 준다:

[예제] $ ps -ef

UID PID PPID C STIME TTY TIME COMMAND

root 0 0 0 Sep 6 ? 0:02 swapper

root 1 0 0 Sep 6 ? 0:00 init

root 2 0 0 Sep 6 ? 0:00 vhand

root 3 0 0 Sep 6 ? 2:14 statdaemon

root 4 0 0 Sep 6 ? 0:11 unhashdaemon

root 7 0 0 Sep 6 ? 0:00 ttisr

root 12 0 0 Sep 6 ? 0:00 lvmkd

UID The user who is the process owner.

PID The process ID number of the process.

PPID The process ID number of the parent process.

C Processor utilization for scheduling.

STIME Starting time of the process. If the elapsed time is greater than 24 hours, the starting date is displayed instead.

TTY The controlling terminal for the process, if any.

NOTE: A question mark (?) in this field indicates that the process is not associated with any tty.

TIME The cumulative execution time for the process (reported in the form "minutes:seconds").

COMMAND The command name.

rm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지운다.

[예제] /var/tmp/swagent.log를 삭제

$ rm /var/tmp/swagent.log

[예제] /var 디렉토리 및 그 디렉토리의 내용을 삭제

$ rm ?r /var

경고: 한번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지워지면 복구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백업으로부터 복구하는 것이다. 또한 위와 같이 디렉토리 및 디렉토리의 내용을 지우는 것을 “/”와 같은 시스템 디렉토리에 수행하는 것은 절대로 금한다.

rmdir 빈 디렉토리를 없앤다.

[예제] 빈 디렉토리 /tmp/hp를 삭제

$ rmdir /tmp/hp

top 주기적으로 변하는 프로세스의 정보를 보여줌.

uname 현재 로그인 되어 있는 컴퓨터의 정보를 보여준다.

[예제] 시스템의 모델, OS 버전, User License수 등을 보여줌

$ uname -a

vi 텍스트 파일을 편집한다.

[예제] /.profile을 편집

$ vi /.profile

what 파일의 버전 정보를 보여줌

[예제] $ what /usr/bin/cc

who 현재 누가 로그인 되어있는 지를 보여줌.

who am i 현 사용자의 로그인 명, tty 및 로그인한 날짜/시간을 보여줌.

who ?r 현재의 run state를 보여줌.

n Administrative commands

dmesg 시스템의 diagnostic 메시지를 화면으로 출력한다.

dmesg의 출력으로부터 현 시스템에 장착되어 있는 총 메모리 용량, 가

용 메모리 용량, 커널 수준의 에러 및 시스템에서 사용 가능한 하드웨어

의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경로를 아래의 예에서 볼 수 있다.

[예제] # dmesg

May 25 09:49

vuseg=c18000

inet_clts:ok inet_cots:ok 1 graph3

2 bus_adapter

2/0/1 c720

2/0/1.2 tgt

2/0/1.2.0 sdisk

2/0/2 lan2

2/0/4 asio0

2/0/6 CentIf

2/0/8 audio

2/0/10 fdc

ps2_readbyte_timeout: no byte after 500 uSec

2/0/11 ps2

5 bus_adapter

5/0/1 hil

5/0/2 asio0

4 eisa

8 processor

9 memory

System Console is on the ITE

Networking memory for fragment reassembly is restricted to 5423104 bytes

Swap device table: (start & size given in 512-byte blocks)

entry 0 - auto-configured on root device; start = 3891200, size = 302102

Defaulting dump to primary swap

Dump device table: (start & size given in 1-Kbyte blocks)

entry 0 - major is 31, minor is 0x5000; start = 2029565, size = 65537

Starting the STREAMS daemons.

B2352B HP-UX (B.10.20) #1: Sun Jun 9 08:03:38 PDT 1996

“메모리 크기를 나타냄”

Memory Information:

physical page size = 4096 bytes, logical page size = 4096 bytes

Physical: 65536 Kbytes, lockable: 39448 Kbytes, available: 48288 Kbytes

fsck file system check

파일 시스템이 어떤 이유(정전 등)에 의해 불안정할 때 check 및 복구하

는 명령.

init s 시스템을 single user mode로 바꿈.

init 4 시스템을 run level 4로 되돌림.

insf Special 파일의 설치.

[예제] 아직 special file이 설치되지 않은 모든 새로운 하드웨어의

special file을 설치

# insf

[예제] 시스템에 있는 모든 special file을 재생성하는 예:

# insf -e

특정 하드웨어 경로의 special 파일만 설치

[예제] 하드웨어 어드레스 2/52.0.0을 이용하는데 쓰이는 모든 장치 파

일을 설치

# insf -H 2/52.0.0

lssf 디바이스 파일의 속성을 나타낸다.

[예제] # lssf /dev/lp /dev/dsk/c0t6d0

rmsf 특정 하드웨어 경로의 디바이스 파일 삭제.

[예제] 하드웨어 경로 2/52.0.0에 연결되어 있는 디바이스 파일을 삭제

# rmsf -H 2/52.0.0

ioscan ?fn 시스템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디바이스의 정보 및 그에 관련된 디바이스

파일을 찾아서 보여줌.

mount 마운트 된 모든 파일 시스템을 보여줌. 또한 다음과 같이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할 때 사용함.

[예제] # mount /dev/dsk/c1t4d0 /cdrom

mount ?a 현재 마운트 되어 있지 않은 /etc/fstab내에 있는 모든 파일 시스템의

마운트.

mount ?p 마운트 된 파일 시스템의 옵션을 보여줌.

swapinfo -t 디바이스 및 파일 시스템의 스왑에 관한 정보를 보여준다.

umount 파일 시스템을 unmount한다.

/cdrom 파일 시스템을 unmount하기 위한 예:

[예제] # umount /cdrom

또는

# umount /dev/vg00/lvol5


부록 2. STDIN, STDOUT, STDERR 파일

n 출력 파일 생성 방법 : Redirecting standard output (stdout):

- Use > or 1> to create or over write the output file.

[예제] $ cat /etc/inittab > /tmp/config.info

- Use >> or 1>> to append to the end of an existing file.

[예제] $ cat /etc/gettydefs >>/tmp/config.info

n 입력 파일 사용 방법 : Redirecting standard input (stdin):

- Use < to take a command’s input from a file.

[예제] $ mail wkc@abc.com < letter

n 에러 파일 생성 방법 : Redirecting standard error (stderr):

- Use 2> to create or overwrite the output file.

[예제] # fbackup -0i /usr -e /usr/lib -f /dev/rmt/0m 2> /tmp/backup.err.log

- Use 2>> to append to the end of an existing file.

[예제] $ tar cvf /dev/rmt/0m /home 2>> /tmp/tar.error.log

- Use 2>&1 to redirect error messages to the same file as the standard output.

[예제] $ find /etc/ -name rc.config.d > /tmp/find.out 2>&1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HPUX11 관리 팁 | HP-UX  (0) 2004.12.08
/etc/nsswitch.conf  (0) 2004.12.08
Unix 서버 비교  (0) 2004.11.23
MAC 어드레스 확인방법(유닉스)  (0) 2004.11.18
Solaris hostname 변경법  (0) 2004.11.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