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9. 10:06

http://heu3339.netian.com/ ==> 새글

㉠불법의 변천사



지금 우리들은 한국이라는 지정학적 위치속에서

수천년간 대승불교적 전통 속에서 살아왔기 때문에

우리들이 배우고 생활화해왔던 대승불교를

당연히 부처님의 정법으로 여기고 있습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불교도들이 느끼는 바이지만

오늘날의 불교는 세상을 이끄는 정신적 등불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불자들을 수동적이고 염세적으로 이끌며

기복종교로 그치고 있습니다.



선승들은 삶에 도움이 될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일반인들이 알 수 없는 화두만 되뇌이고 있는가 하면

학식높은 스님들은 도의 실체가 세상의 은원과 옳고 그름마저 벗어난

공한 것이라는 관념적인 이야기만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불교계 일각에서는 이러한 사태를 심각하게 생각하여

뜻모를 '할!'만 외치는 선불교와 대승불교의 관념성과 비현실성에서 깨어나

구체적인 삶에 도움이 되는 실상의 이치를 주로 하는

근본불교로 돌아가자는 소리를 외치기 시작했고

이러한 흐름은 뜻있는 젊은 스님들과 불자들 사이에

점점 공감대를 넓혀가고 있습니다.



이러한 주장은 그동안 많은 각자와 선사들이 나왔지만

부처님의 정각을 넘어선 이가 나온 적이 없으며
부처님과 같이 우주의 실상을 밝히고 인과의 이치를 밝힌 분이 없다는 점에서

그 호소력을 더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존의 권위와 교리 속에 묻혀 지내던 사람들은

이에 대해 강력히 반발하며 현 대승불교가

소승불교와 마찬가지로 부처님의 진법이며

시대가 흘러감에 따라 현실에 맞게 적응 발전된 것이라고 주장합니다.



이러한 주장은 충분히 이해할 만합니다.

왜냐하면 나도 한 때는 이런 생각을 한 적이 있기 때문입니다.



나도 처음에는 불법은 너무나 깊고 오묘해

단순한 도덕적인 교훈을 전하는 소승에 그칠 리가 없으며

말로 표현할 수 없는 불법이 대승불교 속에 있다고 생각했었습니다.



그러나 공부를 하면 할수록 더욱 커져가는 의혹은

유일한 정각을 얻은 부처님의 가르침인 불교가

세상의 빛이 되지 못하고 오히려 세상을 무기력하게 만들고 있으며

불자들의 삶이 염세적이고 고통스럽게 만들고 있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렇다면 부처님의 깨달음이 환상과 거짓에 불과한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었지만 중생에 대한 자비심과 공덕행으로 가득찬

부처님의 일생을 살펴보면 그분이 유일한 정각을 이룬 분이라는 것은

더 이상 의심할 여지가 없었습니다.



그래서 나는 불교 속에 숨어있는 진실을 알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고

많은 수행의 체험과 깨달음의 인연을 통해

마침내 부처님의 불법이 크게 변해왔다는

진실을 알게 되었기에 이를 밝히니

부디 이러한 사실이 진리를 찾는 많은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그럼 부처님의 참법이 무엇인가? 를 살펴보겠습니다.



불교이론에 삼시교판설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 분류는 유식학을 석존의 교설 중에서 최상의 법문임을 증명하기 위해서

인도 유식학파의 계현(戒賢, Silabhadra)논사가 정립한 이론으로서

제1시 유교(有敎)· 제2시 공교(空敎)·제3시 중도교(中道敎, 唯識敎)의 순서로

불법이 나타났다는 주장입니다.



이와 비슷한 분류도 있지만 대체적으로 불교학자들은

부처님 초기 가르침이 존재하는 사실에 기초해 그 이치를 밝히는

사실교(有敎)였다는 사실에는 모두 공감을 표명하고 있습니다.



즉 유교(有敎)란 말 그대로, 있는 사실에 기초한 가르침으로서,

우주에 존재하고 있는 실상과 실상을 구성하고 있는 이치를 밝힌

가르침이라는 뜻입니다.



처음 부처님은 업이 사라진 해탈한 맑은 마음으로

우주의 진실을 보고 그 속에 흐르는 이치를 밝힘으로써

세상사람들이 사실과 부합된 참된 삶을 살도록 함으로써

불행과 고통이 없고 행복하고 평안한 삶을 살아가도록 한 것입니다.



세상에 발을 딛고 살아가는 사람에게 사실을 사실대로 정확히 알고

세상에 흐르는 이치에 따라 살아가는 것보다 더 좋은 삶은 없습니다.



세상에 분명히 존재하는 사실은 진실이니

이에 기초하여 가르치는 것은 참된 진리가 되는 것이며



세상에 없는 환상이나 실상에 어긋난 그릇된 말을 가르치면

그것은 존재하지 않는 거짓이나 이루어질 수 없는 비법이 되는 것입니다.



부처님의 깨달음은 바로 사실을 사실대로 본 것이며

그 가르침은 사실과 일치한 진리였기에

그 가르침에 따라 행동하면 어김없는 결과를 얻을 수 있어

중생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진리라 하고 부처님을

정각을 이룬 성자라고 존경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은 당시 브라만교의 환상적인 관념과 미신 속에 빠진 사람들에게

어둠에서 벗어나 존재하는 사실을 있는 그대로 보라고 하셨고

그 속에 흐르고 있는 영원한 법칙을 가르침으로써

무지와 삿된 욕망에서 벗어나 참된 삶을 살도록 하신 것입니다.



완전한 깨달음은 세상의 참된 실상과 세상이 움직이는 이치를 드러내

인간이 살아가야 할 올바른 길을 가르치는 것 이외에는 다른 것이 없습니다.



그분이 팔십평생 동안 하신 일은 세상의 진실과 이치들을 밝혀

눈이 어두운 중생들이 세상을 바로 보고 바르게 행동하도록 한 것뿐입니다.



그 가르침의 요체는 우주의 참된 실상과 인과의 법칙,

세상을 축복하는 좋은 마음속에 있습니다.



이 세상은 완전한 법계이고 인과의 이치로 이루어지고 있으니

세상을 있는 그대로 보고 세상이 움직이는 이치에 따라 좋은 원인을 지으면

자신과 세상을 위하여 좋은 원인을 지을 수 있고 좋은 결과를 얻어

지상극락을 이루고 인간완성인 해탈지경에 이를 수 있다는 것입니다.



부처님에게 있어 이 세상의 모습은

그대로 우주의 진리가 스며있는 경전이었으며

그것을 있는 그대로 표현하게 되면 진리의 법음이었습니다.



이것이 바로 부처님이 설한 사실에 관한 법(有法)인 것입니다.



그래서 부처님은 눈에 보이고 인연에 닿는대로

이러한 현상은 이러한 원인과 결과에 의해 이루어지고

저러한 원인을 지으면 저러한 결과가 나타난다고 이치를 밝혔습니다.



부처님의 해탈심에 비치는 실상의 이치는

언제 어디서 누구를 만나든 같습니다.



부처님은 생각으로 법을 만들어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라

눈앞에 보이는 사실과 그 속에 존재하는 이치를 말씀하시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여래는 참된 말만을 하며, 사실만을 말하며, 진실만을 말하며

속이는 말을 하지 않으며, 사실과 다른 말을 하지 않는다고 전해지는 것입니다



아함경에 여러 장소에서 같은 말을 되풀이 한 구절들이 자주 등장하는 이유도

이와 같이 같은 현상 속에는 언제 어디서나 같은 이치가 되풀이되고 있음을

항상 똑같이 보셨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대승론자들은 부처님이 이러한 사실에 관한 법 이외에

근기가 높은 제자들을 위해 세상이 공한 이치를 남겼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부처님은 초기 경전에는 인과의 이치와 실상의 세계 이외에는

다른 것을 가르친 것이 없었습니다.



만약 그분이 자연의 경전에서 사실적인 모습과 이치 이외에

다른 초월적인 뜻과 이치가 존재하는 것을 보셨다면

반드시 그런 말씀을 하셨을 것이며

초기 경전에 그런 내용이 반드시 남아있을 것입니다.



왜냐하면 부처님은 실상을 있는 그대로 보시며

하나의 현상에 대해 두말을 하지 않으시기 때문입니다.



만약 공한 이치가 실상 속에 존재하는 이치라면

부처님의 초기 가르침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던 상좌부에서

대승경전이 나왔을 때 그러한 공한 이치가 부처님의 정법이 아니라고

부정했을 리가 없었을 것입니다.



지금 불교에서는 공한 무루의 이치에서는

선업이나 악업, 옳고 그름도 모든 인간의 환이며 착각에 불과하니

모든 구별을 던져버리고 실상이 공함을 깨쳐야

해탈에 이를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그러나 이와 같이 실상이 본질적으로 공하며

인과의 이치가 모두 헛되다는 이야기는

부처님의 가르침에 근본적으로 위배됩니다.



부처님은 수행의 정법으로 바른 이치를 보고

바른 행동을 하고 바른 업을 지어

바른 마음을 얻고 해탈을 얻는 팔정도를 행하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이 생에서 바른 법과 바른 마음을 얻으면

후생에는 반드시 부처의 경지에 오를 수 있다는 수기를 주었던 것입니다.



이와 같이 바른 이치와 올바르게 살아가는 선업의 유효성이 분명한데

갑자기 모든 선악과 분별의 이치를 버리고

공한 것을 깨닫기만 하면 깨달음을 얻을 수 있다고 주장하는 것은

올바르게 살아가는 사실에 관한 인과법을 왜곡하는 관념적 희론인 것입니다.



부처님이 가장 경계한 것은 이와 같이 존재하는 사실을 벗어난 관념과 논리였습니다.



부처님은 이러한 말을 무기라고 하여 진리를 찾고 자신을 닦는데

아무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답하기를 거부하셨습니다.



이러한 주장 뒤에는 힌두교의 염세적 사고방식과

세상을 환이며 공이라 보는 사고방식이 자리잡고 있습니다.



인도의 브라만 신앙은 이 세상은 본래 맑고 순수하고

전지전능한 브라만(신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나

우주적인 무지, 환술, 속임수(마야)의 힘 때문에

다양한 형상으로 전개되는 것이지

실제로는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고 말합니다.



따라서 선이나 악이라는 것도 하나의 환상에 불과하므로

아무리 신들도 선업을 지어 천상에 난다 하더라도

윤회의 굴레에서 벗어나기 어려우므로



속박에서 완전히 벗어난 해탈을 벗어나기 위해서는

출가 유행(遊行)과 고행, 요가로 세상이 공한 지혜를 깨달아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바로 이러한 관념이 부파불교의 이론화와 대승불교의 관념을 통해

불교로 스며들어오게 된 것입니다.



이로서 불교는 사실적인 가르침을 버리고 관념적인 논리만 외치게 되었으니

불교를 믿는 나라에서 바른 이치가 사라지고

사람들은 환상과 무지에 시달리게 되었던 것입니다.



그래서 나는 초기의 부처님의 가르침이

사실 그대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부처님은 업이 사라진 맑고 순수한 해탈지심으로 세상을 보고

이치를 밝히며 실천했습니다.



그래서 부처님의 옆에서 시봉하는 제자들은

부처님과 같이 생각하며 같이 행동하니

자연히 마음속에 있던 업이 작용하지 못하고 힘을 잃고 사라지기 시작했으며

마침내 세세생생 변치않을 맑은 지혜와 정견을 얻어

아라한의 경지에 올랐던 것입니다.



이처럼 부처님이 팔십평생 제자들을 데리고 다니며

법을 밝히신 모습이 팔정도의 전형인 것이며

제자들을 해탈에 이르게 하는 가장 올바른 수행방법이었던 것입니다.



수천년동안 수많은 구도자들이 거친 산야에서 진리를 찾기 위해 헤매였으나

정각을 얻지 못한 이유도 바로 이와 같이 참된 깨달음의 빛과 업을 잠재울 수 있는

생명의 길을 전해받지 못했기 때문입니다.



완전한 진리의 빛이 있는 곳에서는 그 속에 머물기만 하면

빛의 은총에 젖을 수 있으나

진리의 빛이 사라진 곳에서는 아무리 혼자 노력한다 해도

진리의 광희를 느낄 수 없는 것입니다.



불경에 보면 정법 500년 상법 1000년, 말법 1만년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정법의 시대는 법이 있고 깨달은 자도 나오며

상법의 시대는 수행자는 있어도 깨닫는 사람이 없다고 하며

말법시대에는 올바른 가르침도 없고 실천도 해탈도 어려운 시기라고 합니다.



그동안 세상이 밝아지지 아니하고 깨달은 자가 나타나지 않은 이유는

바로 상법시대와 말법시대 속에 있었기 때문이며

그 이유는 바로 불법이 훼손되어 있었기 때문입니다.

'세상의진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과학과 진리가 하나되는 길  (0) 2004.12.28
㉡ 부파불교 초기변천과정  (0) 2004.11.29
부처님의 참된 가르침  (0) 2004.11.19
[기타...]  (0) 2004.10.05
[궁금증2]지구가 자전하는걸 왜 못 느낄까?  (1) 2004.10.05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9. 10:01

앞으로 게시하게될 내용은

허해구 선생님의 "진실의 근원"사이트에 올려진 글을 옮겨온 것입니다.

http://heu3339.netian.com/==> "새글"게시판

좀 더 많은 진실의 글을 보시고 싶은 분은 꼭 "진실의 근원" 사이트를 방문하여

많은 깨달음을 얻기를 두손 모아 기원합니다.

나도 한때는 불교의 교리를 믿고 따르던 사람이었으며,

현재도 그러한 바탕이 남아 있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정말 진실한 가르침을 따르고자 하는 마음으로

부처님의 초기 가르침에 대한 허해구 선생님의 글을 보게 되어

보다 많은 사람들이 깨닫는 길에 동참할 수 있는 기회가 되길 바래는 뜻으로 여기에 옮겨 봅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세상의진리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부파불교 초기변천과정  (0) 2004.11.29
㉠불법의 변천사  (0) 2004.11.19
[기타...]  (0) 2004.10.05
[궁금증2]지구가 자전하는걸 왜 못 느낄까?  (1) 2004.10.05
[궁금증] 지구가 둥글다는 증거?  (0) 2004.10.02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8. 17:20

http://base.yonsei.ac.kr/infolab/manual/macaddr/check_mac_addr.html

1. Linux : ifconfig -a (/sbin/ifconfig -a)

-----------------------------
eth0   Link encap:Ethernet HWaddr 00:50:xx:xx:xx:xx
     inet addr:192.168.1.100 Bcast:192.168.123.255 Mask:255.255.255.0
... 생략 ...
#
-----------------------------

2. Solaris : ifconfig -a (root로 실행해야 합니다.)

-----------------------------
# ifconfig -a
hme0: flags=863 mtu 1500
    inet 192.168.1.100 netmask ffffff00 broadcast 192.168.1.255
    ether 8:0:xx:xx:xx:xx
#
-----------------------------

3. AIX : lscfg -vp 또는 lscfg -vpl

-----------------------------
# lscfg -vpl ent0

 DEVICE      LOCATION     DESCRIPTION

 ent0       21-08       IBM 10/100 Mbps 이더넷 PCI 어댑터
                   (23100020)

    Network Address.............0006xxxxxxxx
    Displayable Message.........PCI Ethernet Adapter (23100020)
    Device Specific.(YL)........P1/E1
... 생략 ...
#
-----------------------------

4. HP-UX : lanscan

-----------------------------
# /etc/lanscan
Hardware Station      Crd Hardware Net-Interface NM Mac  HP DLPI Mjr
Path   Address      In# State  NameUnit State ID Type  Support Num
2/0/2  0x0800xxxxxxxx  0  UP   lan0   UP  4  ETHER  Yes  52
#
-----------------------------

5. Digtal UNIX : netstat -in 또는 uerf

-----------------------------
# netstat -in
Name Mtu  Network   Address        Ipkts Ierrs  Opkts Oerrs Coll
... 생략 ...
fta0 4352    00:00:xx:xx:xx:xx 13775882   0 13642091   0 0
#
-----------------------------

6. SGI : nvram |grep eaddr 또는 netstat -ia

-----------------------------
# nvram |grep eaddr
eaddr=08:00:xx:xx:xx:xx
#
-----------------------------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네트워크 구성  (0) 2004.12.08
Unix 서버 비교  (0) 2004.11.23
Solaris hostname 변경법  (0) 2004.11.18
[Redhat] 호스트명(hostname) 변경하기 | ++ Linux ++  (0) 2004.11.18
prompt setting  (0) 2004.11.11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8. 17:04
Solaris hostname 변경법 | 스크렙2004/10/27 11:34
http://blog.naver.com/rfcalfdtd/80006933723

hostname변경.

-> hostname의 변경은 다음 6개 file의 hostname을 고쳐주면 된다.

/etc/hosts
/etc/nodename
/etc/hostname.bge0
/etc/net/ticlts/hosts
/etc/net/ticots/hosts
/etc/net/ticotsord/hosts

(출처: Naver 카페 SYSTFT)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서버 비교  (0) 2004.11.23
MAC 어드레스 확인방법(유닉스)  (0) 2004.11.18
[Redhat] 호스트명(hostname) 변경하기 | ++ Linux ++  (0) 2004.11.18
prompt setting  (0) 2004.11.11
umask 명령어  (0) 2004.11.11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8. 17:03
[Redhat] 호스트명(hostname) 변경하기 | ++ Linux ++2004/04/16 11:25
http://blog.naver.com/marine6309/100001812334

### Hostname 변경하기 ###

/etc/HOSTNAME 파일은

부팅 시 /etc/sysconfig/network 파일의 HOSTNAME 부분을 참조하여 저장합니다.

따라서 호스트명을 바꾸고자 할 때에는 /etc/sysconfig/network 파일의 HOSTNAME 부분을 변경한 후, 리부팅을 하거나 네크워크 재시작 명령을 내리면 됩니다.

[root@ ~]# /etc/rc.d/init.d/network restart

[root@ ~]# hostname "hostname" -라우터 호스트네임 변경하는것 같이 해주시면 됩니다.-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서버 비교  (0) 2004.11.23
MAC 어드레스 확인방법(유닉스)  (0) 2004.11.18
Solaris hostname 변경법  (0) 2004.11.18
prompt setting  (0) 2004.11.11
umask 명령어  (0) 2004.11.11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7. 13:14



거북목 증후군에 관한 내용은 Getfit.com에 실렸던 것으로 관련된 한국일보기사와 함께 발행 합니다. 여러분들도 부적절한 자세로 인해 거북이 목이 되지 않길 바랍니다.
거북목증후군(Turtle Neck Syndrome )을 예방합시다

→ 장시간동안 비슷한 자세로 앉아서 일하는 컴퓨터 사용자들은 거북목증후군 이라는 심각한 위험에 놓일 수 있습니다.

거북목(Turtle neck)이라는 용어는 머리가 앞으로 향한 꾸부정한 자세를 말합니다. 오랜 시간 동안 컴퓨터 스크린을 내려다 봄으로 유발되며 비록 수면시간동안에는 이런 현상이 나타나지 않지만 하루하루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여러분의 머리는 더욱 앞으로 향하게 되고 그로 인해 자세도 변화하게 됩니다.

지금 이순간에도 여러분은 목과 어깨가 더욱 단단한 느낌을 경험할 수 있을 것입니다.

여러분의 머리를 어깨 위에 놓인 13파운드짜리 볼링 공으로 생각해 봅시다. 만약 볼링공이 앞으로 향한 자세고 모니터를 보기위해 내려다 보며, 이 자세가 장시간동안 유지된다면, 여러분의 척추 윗부분은 스트레스를 받게 됩니다.

우리의 신체는 스트레스 상황에 적응하는 놀라운 능력이 있기 때문에 머리 무게는 목 뒷부분의 근육과 인대를 늘릴 수 있습니다.

만약 여러분이 거북목을 조기에 알게 된다면 그 변화를 정상으로 돌릴 수 있지만 오랜 기간 동안 그런 스트레스가 지속된다면 그 손상을 회복시킬 수 없게 됩니다.

##### 손쉽게 진단하는 방법 #####

주위에 있는 동료에게 당신의 자세를 옆에서 평가해 달라고 부탁해보세요.

1. 정상적으로 일어선후 여러분의 귀의 중간에서부터 아래로
가상의 선을 그려 봅니다.
2. 만약 여러분이 올바른 자세를 취하고 있다면 그 선은 여러분의
어깨 중간의 수직아래로 떨어질 것입니다.
3. 만약 그 선이 중간보다 앞으로 2.5cm 이상 떨어지면 진행 중이며
5cm 이상이면 거북목이 이미 와있는 상태가 됩니다.

##### Turtle neck을 예방하는 방법 #####

[1] 컴퓨터 스크린을 올리세요.

모니터를 눈높이까지 올립니다.(전화번호부책이나 모니터스텐드
를 이용) 이렇게 함으로써 쳐다보기가 편해지며 여러분의 볼링공(머리)을 뒤로 당기고 목뒷부분의 스트레스를 줄입니다.

[2] 어깨를 뒤로 제치고 가슴을 펴세요.

등을 구부린 꾸부정한 자세는 머리를 앞으로 향하게 합니다. 어깨를 뒤로 제치고 가슴을 편채로 높이 앉습니다.(의기양양한 자세)
이자세가 처음에는 불편할지 모르지만 적응이 된다면 유지할 수 있습니다.

[3] 목을 스트레칭합니다.

신체 조직은 스폰지와 같습니다. 유동성물질을 함유하며 압박을 받으면 빠져나가게 됩니다. 30분에서 한시간마다 목을 가볍게 스트레칭(stretching)함으로써 그 스폰지(신체조직)는 다시 채워지게되고 조직 내의 유동성 물질들은 균형을 이루게 됩니다.

[4] Side neck stretch (목을 옆으로 스트레칭)

귀를 어깨쪽으로 향하게 한 후 10초정도 유지합니다.
손으로 머리를 아래로 가볍게 당기기도 합니다.
양쪽을 번갈아가며 두 번씩 반복하세요.

[5] Chin in the air (하늘을 향해 턱을 드세요)

턱을 하늘로 향해 들고 10초동안 유지하세요. 목 앞부분이 스트레칭되는 것을 느끼고 두 번정도 반복합니다.


==> 올바른 자세를 유지하는 습관이 처음에는 적응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제 그 습관을 얻고 위에서 언급한 내용을 이용하는 것은 만성적인 목의 통증과 같은 문제를 예방하는데 매우 유용할 수 있습니다.

{{{{{{{ 사무실의 거북이 목이 되지 맙시다! }}}}}}}}}}}


출처 : [박재우님 미니홈피]@..@
작성자 : 박재우
작성일 : 2003.10.19
공개설정 : 전체공개

'좋은생각 좋은글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활상식 모음 100선  (1) 2005.01.10
내 휴대폰에 060 스팸 전화 오지 않게 하는 방법  (0) 2004.12.08
은행에 대한 이야기  (0) 2004.11.03
모자  (0) 2004.10.12
[생활]조문예절  (0) 2004.10.07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2. 10:02

기경팔맥의 통혈


기경 팔맥의 통혈(치료점)

-기경에 병이 발생시 통혈(대표혈)을 치료하지 않으면 절대로
고칠 수 없다.
-정경의 병들이 이 혈들을 통해서 익출되므로 반드시 이 통혈을
치료해서 병을 몰아내야 한다.

대 맥 - 임 읍

충 맥 - 공 손

독 맥 - 후 계

임 맥 - 열 결

양유맥 - 외 관

음유맥 - 내 관

양교맥 - 신 맥

음교맥 - 조 해

'오행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발의 경혈지압점  (0) 2012.01.24
감기에 좋은 음식...  (0) 2006.12.22
[사이트추천] 경락과 경혈학  (0) 2004.10.14
충맥  (0) 2004.09.30
양유맥  (0) 2004.09.30
posted by 구름너머 2004. 11. 12. 09:32
부동산 등록세율 내년부터 1%P내려

내년부터 부동산 소유권 이전등기를 할 때 내는 등록세 세율이 3%에서 2%로 내려간다.

또 내수용과 수출용의 소형차 기준을 1600cc 이하로 통일해 자동차세가 부과된다.

행정자치부는 11일 이같은 내용의 부동산 보유세제 개편 등을 담은 ‘2004년 지방세법개정계획’을 발표했다.

행자부는 주택의 종합부동산세율 조정에 맞춰 부동산의 소유권 이전등기를 할 때 부담하는 거래세인 등록세의 세율을 현행 3%에서 2%로 내리기로 했다.

그러나 거래세율을 내려도 거래세의 기준이 되는 과세표준이 실거래가의 30∼40% 수준인 지방세 과세시가표준액에서 실거래가의 70∼80% 수준인 국세청 기준시가로 바뀌기 때문에 거래세 부담 증가는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이에 따라 행자부는 세 부담이 늘더라도 전년에 비해 50% 이상은 증가하지 않도록 상한선 제도를 도입하고, 각 시?도에 대해 자체적으로 국민부담이 급증하지 않도록 시?도의 감면 조례를 통해 추가인하할 수 있도록 허용할 방침이다.

행자부는 또 농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내년부터 5년간 농업소득세를 완전 면제하고 창업 2년 이내의 영농법인에 대해 취득세와 등록세를 걷지 않기로 했다.

또 자동차 산업의 국제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내수용과 수출용 소형차의 기준이 현재 배기량 1500cc 이하와 1600cc 이하인 것을 1600cc 이하로 통일, 내년부터 1600cc 이하에서 1000cc 초과 자동차에 대해 cc당 140원의 자동차세를 물리기로 했다.

지금은 1500cc 이하∼1000cc 초과 자동차에만 cc당 140원을 부과하고 1600cc 초과∼2000cc 이하 자동차에 대해서는 cc당 200원의 자동차세를 물리고 있다.

/ dikim@fnnews.com 김두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