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ed by 구름너머 2005. 6. 13. 19:06
전국 부동산중개업소 동맹휴업 돌입(종합2보)

"부동산가격 안정위해 15일부터 일주일간"

(서울=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전국부동산중개업협회(회장 장시걸)가 오는 15일부터 1주일간 전국 동맹휴업을 실시하기로 결정했다.

전부협은 13일 오전 11시 긴급 이사회를 개최하고 최근 불거지고 있는 부동산 투기과열 현상이 부동산 중개업자의 탓이라는 인식을 불식시키고 부동산 가격 안정을 도모한다는 취지로 1주일간 한시적으로 자율 동맹휴업에 돌입하기로 최종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날 중앙회의 결정으로 15일부터 전국 4만8천여 곳의 회원 중개업소는 자율적으로 1주일간 동시 휴업에 들어가게 됐으며, 이에 따른 전국 부동산 시장의 일대 혼란이 예상된다.

부동산114 김희선 전무는 "전체적으로 거래가 중단되게 됐지만 중개업자가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매도호가가 올라간 상황이기 때문에 부동산 가격 진정효과는 크지 않을 것"이라며 "그러나 급히 주택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실수요자나 전월세를 찾는 서민들이 큰 불편을 겪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RE멤버스 고종완 대표는 "수요자들이 부동산 거래를 할 때 일정부분 불편을 겪게 됐지만 인터넷을 통해 매물 검색이나 시세 파악 등이 가능하기 때문에 시장에 큰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다"고 전망했다.

협회는 서울 송파구와 경기도 분당, 용인 등 일부 지역에서 이미 자율 동맹휴업이 진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이 지역의 참여율이 90%를 상회하고 있어 전국 단위의 참여율도 매우 높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다.

전부협 장시걸 회장은 "부동산 중개업자가 마치 우리나라 부동산 투기의 원인인 것처럼 국민들에게 비쳐지고 있다"며 "최근의 주택가격 급등 현상은 수요와 공급을 잘못 예측하고 정책을 수립한 정부에 책임이 있으며 정책실패의 책임을 대다수의 선량한 중개업자들에게 떠넘기는 정부의 무책임한 행태를 이해할 수 없다"고 말했다.

한편 협회는 집단휴업을 현재 국회에 계류중인 부동산중개업법 개정안과 연계해 진행하기로 했으며, 자율 동맹휴업의 파급효과를 면밀히 검토하면서 부동산 가격상승세의 완화 효과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휴업기간을 연장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협회는 부동산 실거래가 통지 의무를 당사자가 아닌 중개업자에 부담시키고 부 동산 계약서에 계약자의 인감도장만 사용하도록 한 개정안에 반대의 뜻을 밝히고 휴업 투쟁을 개정안 수정을 관철하는 데 연계시킬 계획이다.

한편 또다른 부동산 중개업자의 모임인 대한공인중개사협회는 "정부 정책의 잘못에 대해 항의는 할 수 있지만 지금처럼 시장이 어려울 때 오히려 휴업해 혼란만 가중시키는 것은 적절치 않다"며 휴업에 동참할 뜻이 없음을 밝혔다.

banana@yna.co.kr
(끝)
posted by 구름너머 2005. 6. 13. 19:05
강남.분당.용인 등 아파트 기준시가 상향조정

부동산투기혐의자 457명 정밀세무조사

(서울=연합뉴스) 심인성기자 = 정부는 13일 부동산투기 방지를 위해 서울 강남 일부지역 소재 아파트와 경기도 분당, 용인 등 수도권 일부지역 아파트의 기준시가를 상향조정키로 했다.

정부는 이날 오전 중앙청사에서 이해찬(李海瓚) 총리 주재로 부동산시장 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같이 결정했다고 박종구 경제조정관이 밝혔다.

박 조정관은 "최근 아파트 가격이 급등한 서울 강남 일부지역 등의 아파트에 대한 기준시가를 시가에 근접하게 상향조정키로 했다"면서 "다만 가격이 크게 오르지 않은 25.7평 이하 아파트에 대해서는 기준시가를 그대로 두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또 서울 강남과 경기도 용인, 과천, 분당 등 가격이 급등한 지역에서 부동산을 빈번하게 거래하는 등 투기혐의가 있는 457명에 대해서는 14일부터 자금출처 조사와 함께 양도세 탈루여부를 정밀 검증키로 했다.

정부는 이와함께 현재 국세청이 가동중인 `부동산투기조기경보시스템'과 `부동산거래동향파악전담반', `부동산투기신고센터' 등 관련 기구의 운영을 강화하는 한편 재정경제부와 행정자치부, 건설교통부 등 관계부처 합동으로 부동산대책 태스크포스팀(T/F)을 구성해 중장기 종합제도개선방안을 마련해 나가기로 했다.

sims@yna.co.kr
(끝)
2005/06/13 11:56 송고
posted by 구름너머 2005. 6. 13. 19:01
파란 뉴스기사 출력하기
신월~목동~당산 12.6㎞ 민자 경전철 추진
[중앙일보 2005-06-06 21:23]

[중앙일보 이원진] 서울 목동을 관통해 신월~당산을 잇는 경전철이 이르면 2012년 개통된다.

서울 양천구는 3일 "신월동 남부순환로 화곡로 입구 교차로에서 영등포구 당산역까지 총 12.6㎞의 경전철을 민간 투자사업으로 추진한다"고 밝혔다. 구는 이날 민간사업자인 현대산업개발과 사업을 공동 추진하기 위한 양해각서(MOU)를 맺었다. 양해각서에 따르면 이번 사업은 2008년 시작돼 2012년 완공된다. 민간사업자가 최대 30년간 운영한 뒤 서울시에 기부채납하는 BTO(Build-Transfer-Operate) 형식이다. 총 7000여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되며 민간 50%, 시 30%, 정부가 20%를 각각 부담한다.

경전철 노선은 남부순환로 신월동 화곡로와 신정3지구에서 출발해 서부트럭터미널 교차로~신정로~목동중심축도로~영등포구 당산역을 'ㄴ'자로 잇는 구간이다. 남부순환로 구간은 지상으로, 목동 구간은 지하로 만들며 구간 내 총 14개의 정거장이 들어선다. 기존 지하철로는 5호선(오목교역).2호선(당산역).9호선(양평역.신설예정) 등 총 3개 역에서 환승할 수 있다.

양천구 김종구 교통행정과장은 "남부순환로 주변 교통량이 많은 데다 목동 중심지구는 초고층 주상복합건물과 백화점 등 상업시설이 몰려 교통 정체가 심각하다"며 "경전철이 개통되면 신월.신정 지역의 대중교통 인프라가 대폭 확충돼 교통 여건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서울시 정순구 교통국장은 "2001년 이곳에 건설하려던 지하철 11호선 계획이 경전철로 바뀐 뒤 이곳은 대중교통 취약지대로 남아 있었다"며 "시가 주도해 추진한 우이~신설구간 및 신림~난곡 지역 경전철과 달리 구가 먼저 제출한 계획인 만큼 교통비용, 수익 등 투자 타당성 심의를 거쳐 사업승인 여부를 결정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경전철 1량의 크기는 일반 지하철의 반 정도여서 기존 지하철에 비해 건설비가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이번 경전철은 2량을 연결해 총 244명을 수송하며 요금은 900원 선으로 결정될 예정이다.

이원진 기자 jealivre@joongang.co.kr ▶이원진 기자의 블로그 http://blog.joins.com/jealivre/ - '나와 세상이 통하는 곳'ⓒ 중앙일보 & Join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posted by 구름너머 2005. 5. 26. 09:02

우리의 역사 의식에 대해 반성해 봐야 합니다.


國恥日(국치일)을 아십니까?
- 아직도 일제치하의 기간을 36년이라고 하십니까?-

유구한 반만년의 역사(歷史)를 자랑하는 우리 민족. 그러나 찬란한 문화 전통의 역사가 무참하게 짓밟힌, 그로 인해 역사의 줄기가 단절되어 버린, 바로 일제(日帝)에 의해 질곡(桎梏)의 굴레를 지게 된 치욕(恥辱)의 날들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우리는 지금 단절된 역사를 복원하고 일제(日帝)의 잔재를 청산하고 있다 하면서도 가장 기초적인 문제인 잘못된 용어나 잘못된 일제 압제(壓制) 치하의 기간(期間)을무의식적으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먼저 '을사보호조약(乙巳保護條約)'과 '한일합방(韓日合邦)'이라는 명칭에 대해 이의(異議)를 제기합니다. 무엇이 '보호'입니까? 일제(日帝)가 우리를 보호한 것입니까? 강압에 의한 치욕적인 조약. 그렇다면 우리가 조약 명칭에 '보호'라는 말을 사용할 수 있겠습니까? 또한 '을사오조약(乙巳五條約)'이나 '을사조약(乙巳條約)'으로 불리기도 하지만 이 명칭 역시 우리의 치욕을 풀기에는 부족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명칭이 맞을까요. 바로 '을사늑약(乙巳勒約)'이라고 불러야 합니다. 당시부터 우리의 민족적 지식인 들은 이렇게 불러왔습니다. '늑약(勒約)'은 억눌러서 이루어진 조약이라는 의미입니다. 곧 을사년(乙巳年-서기 연도를 잘 모르겠으면 본 사이트 간지이야기를 보세요)에 일어난 강압에 의한 치욕의 조약을 말하는 것입니다.
또한 '한일합방(韓日合邦)'이라는 명칭도 '합방(合邦)'의 의미가 나라가 합쳐졌다는 일제(日帝)의 입장에서 불리던 명칭입니다. 이 역시 경술년(庚戌年)의나라의 치욕{국치(國恥)}이라는 '경술국치(庚戌國恥)'로 불려야 합니다.

아울러 '경술국치(庚戌國恥)'의 국치일(國恥日)이 몇 월 며칠이라는 것을 정확하게 알고 있는 일반인이 얼마나 될까요. 1910년 8월 29일. 일제가 을사오적(乙巳五賊)의 한 인물이었던 매국노 이완용(李完用)으로 하여금 고종(高宗)을 협박하여 강제로 합병문서에 조인하게 했던 치욕의 날, 8월 29일입니다. 과거는 돌아갈 수는 없어도 잊혀지는 것은 아닙니다. 한때 일본(日本)의 소학교(小學校) 학생들의 교육용 한자(漢字)의 수가 1945자였다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것인지 생각해 본다면 우리의 무의식의 소치는 부끄럽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國恥日(국치일)을 아십니까?
- 아직도 일제치하의 기간을 36년이라고 하십니까?

{ 45-10=36 }이 맞습니까?
명칭의 문제 보다 더 큰 잘못이 있습니다. 바로 일제(日帝)가 우리를 강점(强占)했던 기간을 36년이라고 서슴없이 부르는 것입니다. 올해 8월 15일 광복절(光復節)에도 신문, 방송 등 언론(言論)에서까지 아직도 일제(日帝)의 압제(壓制) 치하(治下)를 36년이라고 했습니다. 그럼 36년이 아니면 몇 년일까요.
초등학교(初等學校) 1학년 학생들에게 우리 민족(民族)이 1910년에 강제로 나라를 빼앗겼다가 1945년에 광복(光復)을 맞았다고 하면 나라를 빼앗긴 기간을 몇 년간이라고 대답하겠습니까? 당연하게 { 1945 - 1910 = 35 } 35년이라고 대답할 것입니다. 조금 더 정확하게 보면 1910년 8월 29일부터 1945년 8월 15일까지 34년 11개월 14일입니다. 곧 35년도 안되는 기간을 자랑이라도 하듯이 36년으로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안타까움을 넘어 답답한 심정입니다. 이것은 우리의 의식이 초등학교 1학년 학생의 수학 실력보다 못한 것이 아니겠습니까.

우리 민족의 암울한 치욕(恥辱)의 시기, 반만년 역사를 단절(斷切)시킨 수치(羞恥)의 역사. 그러한 치욕(恥辱)과 질곡(桎梏)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해 우리는 지금도 노력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일제(日帝)로 인해 만들어진 모든 것들 중에서 잊어야 할 것과 잊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잘못 알고 잘못 쓰고 있는 것들에 대해 바로잡는 작업이 선결되어야 진정으로 일제(日帝)의 잔재(殘滓)가 사라질 것이고 민족의 정기(精氣)가 올바로 설 것입니다.

출처:오형민의 한자여행

posted by 구름너머 2005. 5. 18. 13:17
[확 바뀌는 부동산 세금 올 가이드] 보유세는 기준시가로 과세
거래세는 실거래가로 과세
재산세 - 6월1일 보유자 대상… 매년 21%씩 인상 취·등록세 - 실거래가 적용으로 부담 약 30% 늘어 양도세 - 2007년부터 전면 실거래가 과세 방침
나지홍기자 willy@chosun.com
입력 : 2005.05.17 18:31 41' / 수정 : 2005.05.17 19:59 01'

복잡하기 짝이 없는 새 부동산 세제를 세목별로 정리해본다. 먼저 2가지 포인트를 알면 앞으로 부동산 세금이 어떻게 바뀌는지를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첫째 부동산 거래와 관련있는 취득·등록세와 양도소득세를 매기는 기준은 점차 실거래가로 단일화된다. 둘째,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등 부동산 보유와 관련된 세금의 기준은 아파트(대형 연립주택 포함)는 기준시가, 단독주택은 공시가격, 토지는 공시지가로 각각 통일된다.

◆재산세와 종합부동산세= 집이나 땅을 가진 사람이면 모두 매년 내야 하기 때문에 보유세로 불린다. 6월1일 현재 집이나 땅을 가진 사람들이 대상으로, 재산세는 7월과 9월, 종합부동산세는 12월에 내야 한다. 6월 이전에 부동산을 팔면 세금을 안내도 된다.

재산세는 지난해까지는 건물분과 토지분을 나눠 행정자치부의 지방세 시가표준액으로 세금을 매겼다. 하지만 올해부터는 아파트와 50평 이상 대형 연립주택 등 공동주택은 기준시가, 단독주택은 건설교통부의 공시가격(4월30일 발표), 토지는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세금이 부과된다. 세율은 과세표준에 따라 0.15~0.5%가 적용된다. 하지만 기준시가나 공시가격 전액에 대해 세율을 곱하는 것이 아니라, 기준시가의 절반만 과세표준이 된다.

종합부동산세는 기준시가 9억원 이상의 주택보유자, 공시지가가 각각 6억원, 40억원 이상인 나대지보유자와 사업용토지 보유자에게 부과된다. 종부세는 개인이 갖고 있는 주택과 나대지, 사업용토지를 각각 합산해 과세한다. 만일 기준시가가 각각 5억원, 6억원인 아파트 2채를 갖고 있는 사람은 종부세 대상이 되는 것이다. 반면 기준시가가 16억원인 아파트를 부부가 공동명의로 절반씩 갖고 있으면 종부세를 내지 않는다. 또 주택과 토지는 합산하지 않는다. 예컨대 기준시가 8억원인 아파트 한 채와 공시지가가 3억원인 나대지를 갖고 있다면 종부세를 안내도 된다.

정부는 보유세 개편으로 인한 급격한 세부담의 증가를 막기 위해 올해 재산세와 종부세를 합친 금액이 지난해 재산세의 150%를 넘지 못하도록 했다. 예컨대 지난해 재산세로 100만원을 냈다면, 올해 재산세가 200만원으로 계산되도 150만원만 내면 된다는 것이다.

보유세는 내년에도 올해와 같은 방식으로 부과된다. 하지만 2017년까지 보유세율을 부동산가액의 1%로 대폭 올린다는 정부의 방침에 따라 2006년부터는 보유세율이 매년 평균 21%씩 인상될 예정이다.

상속·증여세도 실제 거래가 없다는 점에서 재산세와 비슷한 기준으로 세금을 매긴다. 다만 세율은 10~50%로 다르다.


◆취득·등록세=부동산 관련 세금 중 올해와 내년에 가장 많이 변하는 세목이다. 지난해까지는 부동산 취득자가 신고한 금액과 시가표준액 중 높은 것을 기준으로 세금을 매겼지만, 올해 5월부터는 주택은 기준시가와 공시가격, 토지는 공시지가로 세금을 매긴다. 또 내년부터는 부동산 실거래가격 신고를 의무화하는 부동산중개업법이 국회를 통과할 경우, 실거래가를 기준으로 취득·등록세를 매기게 된다. 이미 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구, 경기 성남 분당 등 주택거래신고지역에서는 실거래가로 취득세와 등록세를 내고 있다. 현재 기준시가가 실거래가의 70~80% 수준임을 감안할 때, 취득·등록세가 실거래가로 과세되면 내년에 취득·등록세 부담은 30%가량 늘어나게 된다.

세금을 매기는 기준이 대폭 올라간 대신 세율은 낮아졌다. 지난해까지는 취득·등록세율이 최고 5.8%였지만, 올해는 4.6%로 내려갔다. 또 과세권자인 지방자치단체가 조례로 재산세율을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지역에 따라서는 세율이 더 내려갈 수도 있다. 상가같은 사무용건물은 현재 토지와 건물을 구분해 취득·등록세를 내고 있지만, 2008년부터는 통합과세될 예정이다.

◆양도소득세=내년부터 대폭 바뀌는 세목이다. 현재는 주택은 기준시가(공시가격), 토지는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세금을 매기지만, 내년부터 단계적으로 실거래가 과세로 바뀐다. 일단 내년부터 1가구2주택자가 살지 않던 집을 파는 경우와 외지인이 농지·임야·나대지를 팔 때 실거래가로 세금을 매긴다. 재정경제부는 2007년부터 원칙적으로 모든 주택·토지에 대해 실거래가로 양도세를 과세한다는 방침이지만, 아직 확정되지는 않았다.


posted by 구름너머 2005. 5. 12. 09:31

우리는 얼마나 역사를 바로 보고 있는가?

용어속에 담긴 일제의 잔재를 찾아보자...

한일합방 ==> 경술국치

민비 ==> 명성황후

낭인 ==> 깡패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자격증 가산점  (0) 2006.03.21
OCX ?  (0) 2005.10.25
알아보자-03  (1) 2005.05.12
알아보자-02  (0) 2005.05.12
알아보자-01  (0) 2005.05.12
posted by 구름너머 2005. 5. 12. 09:26
1895년 일본인들이 명성황후 시해한 장소 침실이 아니고 마당이었다
당시 日영사가 보고한 기밀문서 발견 日帝, 진상 알고도 ‘침실弑害’로 왜곡
유석재기자 karma@chosun.com
입력 : 2005.01.13 03:56 39' / 수정 : 2005.01.13 05:59 54'


▲ 명성황후의 모습으로 알려져 온 사진. 사진 속 주인공이 궁녀라는 반론이 꾸준히 제기돼 진위 여부는 아직 판명되지 않았다. /조선일보 DB사진
▶ 관련 사진보기
1895년 일본인 폭도들이 조선 고종(高宗)의 황후인 명성황후(明成皇后·1851~1895)를 시해한 을미사변(乙未事變) 당시, 명성황후가 시해된 지점과 시해 과정을 상세히 기록한 일본측 자료가 처음으로 공개됐다. 이 자료는 명성황후가 지금까지 알려진 것처럼 침실 안에서 살해된 것이 아니라, 침전(寢殿) 밖 뜰로 끌려가 칼에 찔려 죽었다고 기록하고 있어 시해 사건의 진상을 밝히는 데 매우 중요한 문건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태진(李泰鎭) 서울대 국사학과 교수는 12일, 일본 외무성 부설 외교사료관에서 최근 찾아낸 기밀 문건 ‘한국 왕비 살해 일건(一件) 제2권’에 수록된 보고서 사본을 공개했다. 당시 일본의 경성 주재 일등영사 우치다 사다쓰지(內田定槌)가 작성한 이 보고서는 을미사변 직후 직접 현장을 조사한 뒤 사건 발생 후 석 달이 채 안된 1895년 12월 21일 본국에 진상을 보고한 내용으로, 신빙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

보고서는 1895년 10월 8일 새벽 경복궁에 난입한 일본인들이 고종과 명성황후의 침소가 있던 건청궁(乾淸宮)에 침입한 경로와 황후 시해 지점, 황후의 시신을 잠시 안치했던 장소와 시신을 불태운 지점을 표시했다.


경복궁 내부의 세밀한 평면도에 표시된 침입 경로에 따르면 일본인들은 경복궁의 정문인 광화문으로 침입, 경회루 왼쪽을 지나 북쪽으로 계속 올라가 건청궁으로 들어갔다.

보고서는 당시 건청궁 내 장안당(長安堂)에는 고종이, 곤령합(坤寧閤)에는 명성황후가 거처하고 있었으며, 이중 어딘지 확인되지 않는 장소로부터 명성황후를 찾아냈다고 기록했다. 이어 일본인들은 장안당과 곤령합 사이 뜰로 황후를 끌고와 시해했으며, 황후의 시신을 곤령합의 일부인 동쪽 건물(옥호루·玉壺樓)의 방 안으로 잠시 옮겨 놓았다가 건청궁 동쪽의 인공산인 녹산(鹿山) 남쪽에서 시신을 불태웠다고 기록돼 있다. 학계에선 그동안 폭도의 일원이었던 일본인과 목격자 등의 수기와 증언을 근거로 명성황후가 옥호루 실내에서 시해된 것으로 여겨 왔으며, 이를 토대로 광복 이후 정부에선 옥호루 근처에 ‘명성황후 조난지지비(遭難之地碑)’를 세우기도 했다.

이태진 교수는 “실내가 아닌 궁궐 마당에서 많은 사람이 지켜보는 가운데 시해됐다는 것은 당시의 상황이 자객에 의한 암살이 아니라 군사작전과 다름없는 궁성 점령 사건이었음을 의미한다”며 “일본이 살해장소를 오랫동안 은폐했다는 점에서 그들 스스로 이 사건이 움직일 수 없는 만행이었다는 것을 인정했음을 알 수 있다”고 말했다.


▲ 명성황후 시해 개념도(上)와 취재내용 필사본(下) /유석재 기자

▲ 지도에서 표시된 점선은 1895년 10월 8일 새벽 경복궁에 난입한 일본인들이 고종과 명성황후의 침소가 있던 건청궁(乾淸宮)에 침입한 경로. /유석재 기자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자격증 가산점  (0) 2006.03.21
OCX ?  (0) 2005.10.25
용어속에 담긴 일본식 사관...  (0) 2005.05.12
알아보자-02  (0) 2005.05.12
알아보자-01  (0) 2005.05.12
posted by 구름너머 2005. 5. 12. 09:25
[만물상] 아! 명성황후
김태익 논설위원 tikim@chosun.com
입력 : 2005.01.13 17:54 35' / 수정 : 2005.01.13 19:17 16'

110년 전인 1895년(을미년) 10월 7일 밤, 조선의 정궁인 경복궁에선 파티가 벌어졌다. 명성황후가 친정 조카인 민영준이 궁내부대신에 내정된 것을 축하해 베푼 자리였다. 조선왕조 500년 사상 가장 처참한 궁중 비극은 그로부터 몇 시간 후 일어났다. 일본 낭인 60여명이 새벽 6시쯤 국왕 부부의 처소인 건청궁에 난입, 왕비를 살해하고 시체를 불태운 것(을미사변)이다.

▶낭인 무리 중에 후지카쓰라는 자가 있었다. 그가 8·15 광복 후 죽었을 때 집에서 길이 120㎝ 가량 되는 칼이 하나 발견됐다. 칼집에는 “단숨에 전광과 같이 늙은 여우를 찔렀다”고 새겨져 있었다.

“여기저기서 계속 ‘민비는 어디 있느냐’고 외치는 소리가 들렸다. 폭도들은 떨고 있는 궁녀들 중 용모와 복장이 아름다운 두 명을 참살했다. 또 한 명의 머리카락을 잡아 옆방의 옥호루로 끌어내 살해했다.…’왕비의 관자놀이에 아주 희미한 마마 자국이 있다’는 얘기를 듣고 세 구의 시체를 조사한 결과 그 중 하나에 마마 자국이 있는 것이 확인됐다.”(쓰노다 후사코 ‘명성황후, 최후의 새벽’)

▶살아서는 외국 사신에게 얼굴조차도 보이지 않던 지엄한 국모였다. 폭도들 중 하나였던 고바야가와는 “방 안에 들어가 쓰러진 부인을 보았다. 위에는 짧은 흰 속옷만 입고 있었고 아래는 흰 속바지를 입고 있었으나 무릎 아래는 맨살이다”고 썼다. 또 한 사람의 폭도 이시즈카 에조는 “정말로 이것은 쓰기 어려우나…”하며 황후를 향해 말 못할 만행이 저질러졌음을 고백했다.

▶명성황후 시해의 진실을 전하는 또하나의 문서가 발견됐다. 당시 서울 주재 일본 영사의 보고서에 따르면 명성황후는 옥호루 실내에서가 아니라 마당에 끌려가 여러 사람이 짓밟고 칼로 찔러 살해했다는 것이다. 시해가 우발적으로 이뤄진 게 아니라 황후가 누구인지 목표를 정하고 군사작전하듯 치밀하게 이뤄졌다는 뜻이다.

▶그러나 이 정도는 진실의 일부일 뿐이다. 폭도들 중에는 하버드대학과 도쿄대를 나온 지식인, 훗날 국회의원 장관 외교관을 지낸 인물들도 많았다. 시해의 주모자는 당시 이토 히로부미와 함께 일본 권력의 핵을 이루고 있던 이노우에 가오루(井上馨)였다. 실무책임은 육군 중장 출신 주한일본 공사 미우라(三浦梧樓)가 맡았다. 그러니 사실상 일본 정부가 저지른 범죄였다. 폭도들은 훗날 형식상으로 재판에 회부됐다가 모두 풀려나 영달의 길을 걸었다.

힘이 없으면 언제 능욕을 당할지 모르는 우리의 지정학적 운명은 그때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스크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자격증 가산점  (0) 2006.03.21
OCX ?  (0) 2005.10.25
용어속에 담긴 일본식 사관...  (0) 2005.05.12
알아보자-03  (1) 2005.05.12
알아보자-01  (0) 2005.05.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