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4.06.25 09:04 | |||
| ||||
| ||||
'분류 전체보기'에 해당되는 글 1580건
- 2005.10.25 OCX ?
- 2005.10.24 클라이언트(Resolver) 설정
- 2005.10.20 [상담사례]양도세 1가구 2주택 비과세 1
- 2005.10.20 [상담사례]양도세 얼마나 되나요?
- 2005.10.20 전세값 인상에 대한 법적 보호선?
- 2005.10.20 주택임대차보호법시행령[일부개정 2002.6.19 대통령령 제17627호]
- 2005.10.20 주택임대차보호법[일부개정 2005.1.27 법률 7358호]
- 2005.10.20 [국세청상담사례]이사할려고 집을 샀는데요. 1
http://www2.kr.freebsd.org/doc/PoweredByDNS/config-resolver.html
Chapter 3. 클라이언트(Resolver) 설정
- Table of Contents
- 3.1. Unix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설정
- 3.2. Microsoft Windows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설정
- 3.1. Unix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설정
3.1. Unix 시스템에서의 클라이언트 설정
Unix 시스템상에서 DNS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etc/resolv.conf 파일과, /etc/nsswitch.conf 파일을 손보아야 한다. /etc/resolv.conf에는 도메인 Resolving시 쿼리를 던질 네임서버를 3개까지 나열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로컬 Primary, Secondary, ISP 네임서버 3개를 다음과 같이 명시한다.
search nobreak.com # 도메인 서픽스(Suffix)nameserver 210.105.79.2 # ns.nobreak.com
nameserver 210.105.79.3 # ns2.nobreak.com
nameserver 168.126.63.1 # ns.kornet.ne.kr (사용하는 ISP의 NS)
'search nobreak.com'은 호스트명만 주었을 경우 서픽스로 사용할 도메인을 뜻한다. 다른 도메인의 호스트에 자주 접속하거나, 여러 도메인을 관리한다면, 해당 도메인을 다음과 같이 여럿 놓을 수도 있다.
search nobreak.comsearch kr.freebsd.org
이런 경우엔 호스트명 www는 먼저 www.nobreak.com으로 확장되어 검색되고, 검색되지 않을 경우 www.kr.freebsd.org로 확장되어 다시 검색된다. 잘못된 호스트명을 주었을때도, 가능한 조합을 모두 검색하므로, 많은 도메인을 search 리스트에 포함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도메인 별로 네임서버를 다르게 설정할 수도 있다. 주로 네임서버의 캐쉬 영향을 받지 않고, 해당 도메인의 수정사항을 즉각 적용하기 위해 쓰인다.
search nobreak.comdomain nobreak.com
nameserver 210.105.79.2
...
domain kornet.ne.kr
nameserver 168.126.63.1
...
호스트 네임을 DNS로 확장하여 검색하기 위해서는 /etc/nsswitch.conf 파일의 라인 'hosts:'에 'dns'가 추가되어 있어야 한다. 근래 대부분의 OS는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배포되지만, 확실히 하기 위해 확인하자.
hosts: files dnsfiles 는 호스트명을 /etc/hosts 파일에서 검색함을 뜻한다. 시스템은 주어진 순서(files, dns)로 검색을 시도한다.
'UNIX' 카테고리의 다른 글
unix timestamp (0) | 2005.12.30 |
---|---|
Unix Shell (0) | 2005.11.25 |
C shell, Bourne shell에서의 테스트 방식 비교 (0) | 2005.10.17 |
UNIX에서 날짜 구하기 팁. (0) | 2005.08.25 |
file 검색 in 유닉스,리룩스 (0) | 2005.07.20 |
![]() |
![]() | |||
| |||
![]() | |||
2003년 재건축 입주권을 구입하여 2005년 10월에 입주예정입니다. 그런데 2005년 5월 상암동 청약을 하여 당청되어 2006년 10월경 입주예정입니다. 이 경우 목동에 1년 거주 후 상암동에 입주하면 2주택 양도세를 피하기 위해서는 목동의 아파트를 언제 처분해야 하는 지 궁금합니다. 답변부탁드립니다. | |||
![]() | |||
안녕하십니까? 국세행정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협조에 감사드리며, 귀 질의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답변합니다. 1. 1세대 1주택 비과세를 적용함에 있어서 종전주택을 보유하다가 재건축으로 완성된 주택의 보유기간은종전주택의 연장으로 보아 통산하는 것이며, 재건축중인 입주권을 취득한 경우 동 주택의 완성일(사용승인일 등)이 취득일이 되어 그 날로부터 보유기간을 계산하는 것입니다. 2.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취득(자기가 건설하여 취득한 경우를 포함한다)함으로써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 다른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 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종전주택의 양도일 현재 당해 주택의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인 것(서울특별시, 과천시 및 택지개발촉진법 제3조의 규정에 의하여 택지개발예정지구로 지정·고시된 분당·일산·평촌·산본·중동 신도시지역에 소재하는 주택의 경우에는 당해 주택의 보유기간이 3년 이상이고 그 보유기간중 거주기간이 2년 이상인 것)을 양도한 경우 비과세 됩니다.(단, 6억초과인 고가주택은 과세) - 즉, (새로운 주택의 취득시점에는 종전주택의 보유기간이 3년에 미달하나) 종전주택의 양도일 현재를 기준으로 볼 때에는 3년 이상 보유하게되어 위와 같이 비과세 요건을 갖추게 되었고, 양도일 현재를 기준으로 종전주택과 다른 주택(새로 취득한 주택)의 중복보유기간이 1년 이내이면 비과세가 적용되는 것입니다. (법령을 조회하시려면"우리청 홈페이지 > 국세정보서비스 > 조세법령"을 참조하시기바랍니다.) 본 답변은 귀하가 제시한 자료만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며, 법적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 판단)이 아니므로 각종 신고, 불복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을 수 있습니다. 상담결과를 설문내용으로 파악하여 상담업무에 반영하고자 하오니 아래의 설문에 참여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십시오. | |||
| |||
|
'경제방_양도소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발코니 개조비용 양도세서 공제 (0) | 2005.11.02 |
---|---|
국세심판원 “부부는 한 사람” (0) | 2005.10.31 |
[상담사례]양도세 얼마나 되나요? (0) | 2005.10.20 |
[국세청상담사례]이사할려고 집을 샀는데요. (1) | 2005.10.20 |
불가피하게 1세대 2주택이 되었을 때도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가 ? (0) | 2005.10.20 |
국세청 : http://nts.go.kr/front/web_call/faq/wccewa12.asp
![]() |
![]() | ||
| ||
![]() | ||
안녕하세요, 아파트를 분양 받았는데 입주 날자는 되었는데 현재 살고 있는 아파트를 팔지 못해서 할수 없이 전세를 놓고 이사를 갈 예정이고 2년뒤 전세가 끝나면 팔려고 하는데 이때 양도세가 얼마나 될까요 ? 지금 살고 있는 곳은 13년전에 취득하였고 매입할 당시 기준시가는 5천3백만원, 지금 기준시가는 6천3백5십만원 이며 매입한 가격은 6천4백만원이고 현 시가는 1억1천5백만원 입니다. 기준시가로 양도세를 적용하는지 매입가격과 판매가격으로 적용하는지요 ? | ||
![]() | ||
안녕하십니까? 국세행정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리며, 다음은 귀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 귀 질의의 경우 전화상으로 보충하여 설명드린 바와 같습니다. 참고로 소득세법시행령 제155조 제1항의 규정(일시적인 2주택 비과세특례)은 종전주택의 양도시점(잔금청산일과 등기접수일 중 빠른 날)을 기준으로 비과세 여부를 판정하는 것으로, 귀 사례의 경우 다음의 일시적 2주택으로 인한 비과세특례를 적용할 수 있습니다. 즉,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취득함으로써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에는 다른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그 양도하는 주택이 양도일 현재 소득세법시행령 제154조 제1항의 비과세요건『3년이상 보유 및 2년이상 거주(거주요건은 서울,과천,5대신도시에만 적용됨)』을 충족(고가주택 및 미등기양도주택이 아닐 것)하였으면 1세대1주택으로 비과세 되는 것입니다. 새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1년을 경과하여 양도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것입니다. 상기의 다른 주택을 “취득한 날"이라 함은 잔금청산일(잔금청산일까지 완성되지 아니한 경우 당해 주택의 완성일)을 말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요. ※ 조세법령을 조회하시려면 국세청 홈페이지를 접속하셔서 > 국세정보서비스 > 법령정보 > 조세법령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 귀하의 상담결과를 설문내용으로 파악하여 상담업무에 반영하고자 하오니 답변을 열람하신 후 아래“만족도평가” 배너란을 클릭하시어 만족도 평가를 하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본 답변은 귀하가 제시한 자료만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며, 법적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판단)이 아니므로 각종 신고, 불복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을 수 있습니다. | ||
| ||
|
'경제방_양도소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세심판원 “부부는 한 사람” (0) | 2005.10.31 |
---|---|
[상담사례]양도세 1가구 2주택 비과세 (1) | 2005.10.20 |
[국세청상담사례]이사할려고 집을 샀는데요. (1) | 2005.10.20 |
불가피하게 1세대 2주택이 되었을 때도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가 ? (0) | 2005.10.20 |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1세대 1주택이란 무엇인가 ? (0) | 2005.10.20 |
출처: http://www.nmtimes.co.kr/siron_column.asp?page=9&idx=965
네트워크신문
전세값 인상에 대한 법적 보호선? |
![]() 그리고 전세기간이 만료되어 재계약을 해야 하는 경우 인상된 전세값을 감당하지 못하여, 결국은 신도시나 수도권 외곽으로 밀려나는 '도미노'현상이 초래되고 있다. 과연, 집주인(임대인)은 임차인에게 임대차보증금(또는 월세)을 얼마나 인상하여 요구할 수 있는가? 당사자 간에 차임 증감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문제가 없지만, 요즘과 같이 가파르게 전세값이 인상되어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이에 관한 분쟁이 발생하기 쉽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는, "약정한 차임 또는 보증금이 임차주택에 관한 조세·공과금 기타 부담의 증감이나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인하여 상당하지 아니하게 된 때에는 당사자는 장래에 대하여 그 증감을 청구할 수 있다. 그러나 증액의 경우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준에 따른 비율을 초과하지 못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법 시행령 제2조에서는 차임의 증액청구는 약정한 차임의 20분의 1을 초과하지 못하도록 하고 또한 증액청구는 임대차계약 또는 약정한 차임 등의 증액이 있은 후 1년 이내에는 하지 못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월세로 전환하는 경우에도 법 제7조의 2에서 제한을 가하고 있다. 따라서, 임대인이 경제사정의 변동으로 인하여 임차인에게 전세보증금(또는 월세)의 인상을 요구하는 경우에는 임대차계약 체결 후 또는 약정 차임의 증액 후 1년이 경과해야 하고, 증액의 범위도 약정된 차임의 5%를 초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임차인은 임대인의 차임 인상 요구에 대해서 약정된 차임의 5%를 초과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를 거절할 수 있다. 임차인과 적정한 보증금 증액에 관한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임대인은 민사조정 등을 통하여 보증금 증액을 신청할 수 있다. 이때 임차인이 이러한 차임 증액 한도에 관한 주장을 하면 법원은 이를 감안하여 적절한 인상액을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차임의 증액청구에 대한 제한은 전세계약이 만료되어 재계약을 체결하는 경우에는 적용이 되지 않는다. 판례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7조의 규정은 임대차계약의 존속중 당사자 일방이 약정한 차임 등의 증감을 청구한 때에 한하여 적용되고, 임대차계약이 종료된 후 재계약을 하거나 또는 임대차계약 종료 전이라도 당사자의 합의로 차임 등이 증액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는다."고 판시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에 대비해서 임차인은 되도록 임대차기간을 장기간으로 정하고, 그 임대차기간동안에는 차임을 증액할 수 없다는 특약사항을 임대차계약에 포함시키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문제는 언제나 공급보다 수요가 많은 서울의 중심지에서 경제적 약자의 위치에 있는 세입자가 집주인에게 법률적 권리를 주장하면서 집주인의 전세금 인상을 거부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쉽지 않다는 것이다. 그러기에 서민들은 법이란 자신들에게 멀기만 한 존재라고 생각하는지도 모른다. |
2003-10-06 오후 12:03:28 전현희 |
'경제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교육비도 소득공제 대상'' (0) | 2005.11.08 |
---|---|
8.31대책 포함 세제 개편 험로 예고 (0) | 2005.11.02 |
8ㆍ31대책 이후 세입자고통 커진다 (0) | 2005.10.20 |
SKT, 내년부터 발신자 표시 요금 무료화 (0) | 2005.10.18 |
농지원부 발급 및 작성요령 (0) | 2005.10.18 |
출처: 법제처. http://www.klaw.go.kr/
주택임대차보호법시행령 [일부개정 2002.6.19 대통령령 제17627호] |
![]() | 부칙 <제11441호,1984.6.14> | |
이 영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 ||
![]() | 부칙 <제12283호,1987.12.1> | |
①(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소액보증금의 범위변경에 따른 경과조치) 이 영 시행전에 임차주택에 대하여 담보물권을 취득한 자에 대하여는 종전의 규정을 적용한다. | ||
![]() | 부칙 <제12930호,1990.2.19> | |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 ||
![]() | 부칙 <제14785호,1995.10.19> | |
①(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경과조치) 이 영 시행전에 임차주택에 대하여 담보물권을 취득한 자에 대하여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 ||
![]() | 부칙 <제17360호,2001.9.15> | |
①(시행일) 이 영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경과조치) 이 영 시행전에 임차주택에 대하여 담보물권을 취득한 자에 대하여는 종전의 규정에 의한다. | ||
![]() | 부칙 <제17627호,2002.6.19> | |
이 영은 2002년 6월 30일부터 시행한다. |
'경제방 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올해(2006)부터 달라지는 금융제도-제일은행 제공 (0) | 2006.01.23 |
---|---|
근저당권 말소등기 절차 (2) | 2006.01.10 |
주택임대차보호법[일부개정 2005.1.27 법률 7358호] (0) | 2005.10.20 |
부동산을 취득하였을 때 내야 되는 세금은 무엇이 있는가 ? (0) | 2005.10.20 |
8.31 부동산대책 관련 14개 법안 국회 제출 완료 (0) | 2005.10.18 |
주택임대차보호법 [일부개정 2005.1.27 법률 7358호] |
![]() | 부칙 <제3379호,1981.3.5> | |
①(시행일) 이 법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경과조치) 이 법은 이 법 시행후 체결되거나 갱신된 임대차에 이를 적용한다. 다만, 제3조의 규정은 이 법 시행당시 존속중인 임대차에 대하여도 이를 적용하되 이 법 시행전에 물권을 취득한 제3자에 대하여는 그 효력이 없다. | ||
![]() | 부칙 <제3682호,1983.12.30> | |
①(시행일) 이 법은 1984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경과조치의 원칙) 이 법은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법 시행전에 생긴 사항에 대하여도 이를 적용한다. 그러나 종전의 규정에 의하여 생긴 효력에는 영향을 미치지 아니한다. ③(차임등의 증액청구에 관한 경과조치) 제7조 단서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전에 차임등의 증액청구가 있은 경우에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④(소액보증금의 보호에 관한 경과조치) 제8조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전에 임차주택에 대하여 담보물권을 취득한 자에 대하여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 ||
![]() | 부칙(정부부처명칭등의변경에따른건축법등의정비에관한법률) <제5454호,1997.12.13> | |
이 법은 199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단서 생략> | ||
![]() | 부칙 <제5641호,1999.1.21> | |
①(시행일) 이 법은 1999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존속중인 임대차에 관한 경과조치) 이 법은 특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법 시행당시 존속중인 임대차에 대하여도 이를 적용한다. ③(임대차등기에 관한 경과조치) 제3조의4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전에 이미 경료된 임대차등기에 대하여는 이를 적용하지 아니한다. | ||
![]() | 부칙 <제6541호,2001.12.29> | |
이 법은 공포후 6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 ||
![]() | 부칙(민사집행법) <제6627호,2002.1.26> |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2002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내지 제5조 생략 제6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내지 <41>생략 <42>주택임대차보호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의2제1항중 "채무명의"를 "집행권원"으로, "민사소송법 제491조의2"를 "민사집행법 제41조"로 하고, 같은 조제2항중 "민사소송법"을 "민사집행법"으로 하며, 같은 조제5항중 "민사소송법 제590조 내지 제597조"를 "민사집행법 제152조 내지 제161조"로 한다. 제3조의3제3항중 "민사소송법 제700조제1항, 제701조, 제703조, 제704조, 제706조제1항·제3항·제4항 전단, 제707조, 제710조"를 "민사집행법 제280조제1항, 제281조, 제283조, 제285조, 제286조, 제288조제1항·제2항·제3항 전단, 제289조제1항 내지 제4항, 제290조제2항중 제288조제1항에 대한 부분, 제291조, 제293조"로 한다. 제3조의5 본문중 "민사소송법"을 "민사집행법"으로 한다. <43>내지 <55>생략 제7조 생략 | ||
![]() | 부칙(민사집행법) <제7358호,2005.1.27> | |
제1조 (시행일) 이 법은 공포 후 6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생략 제3조 (다른 법률의 개정) ①생략 ②주택임대차보호법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의3제3항 전단중 "민사집행법 제280조제1항, 제281조, 제283조, 제285조, 제286조, 제288조제1항·제2항·제3항 전단, 제289조제1항 내지 제4항"을 "민사집행법 제280조제1항, 제281조, 제283조, 제285조, 제286조, 제288조제1항·제2항 본문, 제289조"로 한다. ③생략 제4조 생략 |
'경제방 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저당권 말소등기 절차 (2) | 2006.01.10 |
---|---|
주택임대차보호법시행령[일부개정 2002.6.19 대통령령 제17627호] (0) | 2005.10.20 |
부동산을 취득하였을 때 내야 되는 세금은 무엇이 있는가 ? (0) | 2005.10.20 |
8.31 부동산대책 관련 14개 법안 국회 제출 완료 (0) | 2005.10.18 |
투기지역/투기과열지구/주택거래신고지역/토지거래허가구역 (0) | 2005.10.18 |
이런글도 있어서 올려 봅니다.^^
![]() |
![]() | ||
| ||
![]() | ||
현재 24평을 소유하고 거주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사를 위해서 32평을 구입했는데요. 이사를 위한 1가구 2주택은 2주택자 중과세에서 제외 된다고 하는데 기간은 1년내죠? 그런데 이를 어쩌나요 24평이 팔리지 않고 있습니다. 팔려고 내 놓았는데.. 이런 정책으로 사람들이 집을 구입하지 않고 있다고 합니다. 1년동안 24평집을 팔지 못하면 저는 2주택자가 되어 양도세 중과세를 내야 하는지요? 참고로 24평(전용면적 18.02평)은 혹 중과세 제외 대상이 되지는 않는지요? | ||
![]() | ||
안녕하십니까? 국세행정에 대한 관심에 감사드리며, 다음은 귀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 국내에 1주택을 소유한 1세대가 그 주택을 양도하기 전에 다른 주택을 취득함으로써 일시적으로 2주택이 된 경우에는 다른 주택을 취득한 날부터 1년이내에 종전의 주택을 양도하는 경우 그 양도하는 주택이 양도일 현재 소득세법시행령 제154조 제1항의 비과세요건『3년이상 보유 및 2년이상 거주(거주요건은 서울,과천,5대신도시에만 적용됨)』을 충족(고가주택 및 미등기양도주택이 아닐 것)하였으면 1세대1주택으로 비과세 되는 것입니다. 새주택을 취득한 날로부터 1년을 경과하여 양도하는 경우에는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 것입니다. 「8.31. 부동산 종합대책」에 의하면 1세대2주택이상자의 양도소득세 중과세(2007년부터 50%의 높은 세율 적용, 장기보유특별공제 배제)를 적용함에 있어서 1세대가 소유하고 있는 다음 주택을 기준으로 2주택 이상인지 여부를 판정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①서울, 광역시(군지역 제외) : 모든 주택 ②경기도(읍면지역 제외) : 모든 주택 ③기타지역(광역시 군지역, 경기도 도농복합시의 읍면지역, 기타 도지역) : 국세청기준시가 기준으로 3억원을 초과하는 주택 또한 수도권, 광역시 소재 주택으로서 기준시가 1억원이하의 주택을 양도시에는 상기의 중과세율이 적용하지 않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8.31. 부동산 종합대책」은 입법화되지 않은 내용으로 국회의 입법과정이 아직 남아 있습니다. 정기국회가 열리고 있으므로 국회의 입법과정을 언론을 통하여 관심가져주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오늘도 행복한 하루 되십시요. ※ 조세법령을 조회하시려면 국세청 홈페이지를 접속하셔서 > 국세정보서비스 > 법령정보 > 조세법령을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 ♡' 본답변은 귀하가 제시한 자료만을 근거로 작성되었으며, 법적효력을 갖는 유권해석(결정,판단)이 아니므로 각종 신고.불복청구 등의 증거자료로서의 효력은 없을 수 있습니다. |
'경제방_양도소득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상담사례]양도세 1가구 2주택 비과세 (1) | 2005.10.20 |
---|---|
[상담사례]양도세 얼마나 되나요? (0) | 2005.10.20 |
불가피하게 1세대 2주택이 되었을 때도 양도소득세가 과세되는가 ? (0) | 2005.10.20 |
양도소득세가 과세되지 않는 1세대 1주택이란 무엇인가 ? (0) | 2005.10.20 |
부동산 등의 매매에 있어서 취득일과 양도일은 언제로 보는가 ? (0) | 2005.10.20 |